지난해 나란히 호실적 기록
중동지역 중심 사업 매출 가시화 영향
중동 국가 '현지화 정책'은 변수

사진 = 삼성물산 제공
사진 = 삼성물산 제공

[데일리임팩트 한나연 기자]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현대건설이 건설경기 한파를 뚫고 지난해 나란히 호실적을 기록했다. 해외 진출과 신사업 공략 카드를 꺼내든 두 건설사의 행보가 실적 호전으로 이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해 영업이익으로 전년보다 18.2% 증가한 1조340억원을 기록했으며 현대건설의 영업이익은 7854억원으로 약 37% 증가했다.

특히 삼성물산은 건설부문 단독 영업이익으로만 처음 1조원을 돌파하면서 회사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같은 실적 선방의 배경으로는 적극적인 해외 수주와 신사업 확대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침체된 국내 주택사업 대신 다른 먹거리를 발굴하는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이 통한 것.

아울러 두 건설사 모두 해외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한 것이 영업이익 성장의 발판이 됐다는 입장이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은 지난 2022년 사우디 네옴시티 더라인 지하 터널 첫 번째 구간을 공동 수주하면서 공사를 진행 중이다.

삼성물산, 중동 경쟁력 확보 및 신사업 성과 창출

삼성물산은 지난 2022년 카타르 초대형 태양광 발전소 공사 사업을 단독 수주하면서 중동 사업 경쟁력 및 에너지 신사업의 물꼬를 튼 바 있다. 이번 해외매출 실적 역시 해당 사업장의 매출 인식이 본격화된 결과라는 설명이다.

올해 상반기 준공될 사우디 리야드 메트로의 6개 노선 중 3공구의 4‧5‧6호선 공사도 순항 중이다. 공사비만 10조원에 이르는 초대형 프로젝트이며 향후 노선 확대에 따른 추가 발주도 기대하고 있는 모양이다.

나아가 △에너지솔루션 △스마트시티 △홈플랫폼 등을 통해 신사업 성과 창출 및 고수익 사업 구조 전환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에 지난해 11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전문 전시회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SCEWC)'에서 스마트시티 모델을 공개한 바 있다. 이외에도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총리, 뭄바이 광역개발청(MMRDA)과 인도 스마트시티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으며 인도 진출을 알렸다.

계동 현대건설 사옥. / 사진 = 현대건설 제공
계동 현대건설 사옥. / 사진 = 현대건설 제공

사우디 진출, 원자력 신사업 나서는 현대건설

현대건설의 지난해 신규 수주액은 32조491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간 목표(29조900억원)를 11.7% 초과 달성한 결과로, 이중 해외 비중만 12조8680억원이다. 전년 대비 80.3% 증가했으며 10조원을 넘긴 것은 2020년(10조4904억원) 이후 3년 만이다.

해외 실적 사례로는 사우디 중부 전력청(SEC-COA)에서 발주한 1억4500만달러 규모의 네옴-안부 525kV(킬로볼트) 초고압 직류송전선로 프로젝트 수주가 있다.

이외에도 아미랄 석유화학 콤플렉스 패키지 1(에틸렌 생산시설)과 패키지 4(유틸리티 기반 시설) 수주 계약 등이 해외 수주액 증가에 큰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사우디 국영 석유·천연가스 기업인 '아람코'가 추진하는 석유화학단지 건설사업으로 공사 규모는 50억달러(약 6조5000억원)에 이른다.

또 △사우디 자푸라 가스전 1단계 △사우디 네옴 러닝 터널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폴란드 올레핀 확장공사 등 해외 대형 현장 공정의 본격화가 실적에 유효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리포트를 통해 “풍부한 플랜트 부문 파이프라인을 감안 시 지난해에 그랬듯 올해도 목표치를 상회하는 해외 수주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원자력 부문에서도 영향력을 높이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3조1000억원 규모의 신한울 3·4호기 원자력발전소 주 설비 공사를 수주하며 대형 원전 사업에서의 존재감을 드러냈다. 나아가 미국 원전 파트너사 홀텍과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설계에 착수해 진출 국가를 늘리는 등 원자력 사업 전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대형 원전·SMR 등 핵심사업과 미래 기술 개발에 전략적으로 집중할 것"이라며 "건설시장의 글로벌 흐름에 따라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정립해 갈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중동 '현지화 정책' 변수 존재해

다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해외사업 전망이 마냥 밝지만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중동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일명 ‘현지화 정책’이 퍼지는 상황이며, 이스라엘-하마스 전쟁도 지속되고 있어 해외 사업에 변수 가능성이 있다.

특히 사우디와 UAE, 카타르 등 중동 주요 산유국들 대부분이 현지인 채용, 현지생산 제품 및 서비스 사용 등 현지화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현지 공급망을 늘리고 국가 산업을 경쟁력 강화하기 위해서다. 이 정책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 사업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분위기다.

해외건설정책지원센터는 지난해 말 발간한 연구보고서에서 “우리 기업들은 현지화 강화 정책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중동지역 내 경쟁력을 갖고 있는 현지 기업과의 협업 또는 파트너십 관계 구축, 유능한 현지 인재 영입, 경쟁력 있는 현지 기자재업체 발굴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편 미분양 물량 및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등 건설 업계 전반에 주택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국면이 이어지면서 두 건설사의 올해 주택사업 방향도 주목된다.

삼성물산은 올해 EPC(설계조달시공)·하이테크·주택 등 기존사업은 수익성 중심의 사업 기조를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주택은 여의도·성수·압구정 등 랜드마크 사업지를 중심으로 수주와 시공권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현대건설은 연결 기준 2024년 수주 목표로 29조원(별도 17조원)을 공개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10.8% 감소한 수치다. 이 중 국내는 17조2000억원(별도 10조7000억원), 해외 11조8000억원(별도 6조3000억원)이다. 특히 국내 부문은 침체된 주택 시장을 감안해 전년 수주액 대비 13% 줄였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리포트를 통해 “해외 현장의 원가율은 과거 대비 소폭 개선되는 흐름이나, 매출의 70% 수준을 차지하는 건축·주택 부문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하고 있다”며 “현대건설은 지난 2021년 2만7000세대, 2022년 3만세대의 분양을 했으며 2021년 초부터 공사비가 급등해 해당 기간 분양한 물량은 최소 올해까지 수익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