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텍사스 오스틴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장 전경. 사진=삼성전자
미국 텍사스 오스틴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장 전경. 사진=삼성전자

[미디어SR 김다정 기자]세계적인 ‘반도체 대란’ 상황 속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삼성전자 등 세계 굴지의 기업들을 소환해 ‘공격적인 투자’를 요구했다.

바이든 미 대통령이 직접 나서 미국에 새로운 공장을 짓기 위한 투자에 서둘러 달라고 압박한 모양새가 되면서 해당 기업들이 어떤 선택을 내놓을지 관심을 끌고 있다.

미국 백악관은 12일(현지시간) 반도체 칩 부족 사태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반도체 화상회의’를 개최했다. 반도체 칩 공급난으로 인해 미국의 자동차 생산 공장 조업 중단이 속출하고 전자제품 생산도 차질을 빚는 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자리다.

이날 회의에는 미 정부 측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참석했다.

업체로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TSMC, 마이크론, 글로벌파운드리 등 세계적 반도체 회사들과 구글 모회사 알파벳, AT&T, GM, HP 등 반도체·통신·자동차 19개 기업이 참여했다.

이중 유일한 한국 기업인 삼성전자에서는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든 대통령 “공격적 투자 필요”…중국 견제 드러내

이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자립화’ 드라이브를 사실상 공식화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이 제시한 2조2500억달러(한화 약 2530조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 예산에도 50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제조·연구 지원 예산이 포함돼 있다. 또 반도체가 국가안보와 직결된 품목이라고 보고 공급망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라는 행정명령도 발동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2일 백악관에서 열린 반도체 화상회의에 직접 참여해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국과의 경쟁을 강조하면서,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을 강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세계적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해줄 것을 요청했다.

자국 내 생산을 늘려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는 동시에 중국의 반도체 패권 도전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미국 내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의도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과 세계의 다른 나라는 기다리지 않고, 미국이 기다려야 할 이유도 없다”며 “우리는 반도체와 배터리와 같은 분야에서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것은 다른 이들이 하는 것이기에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여야 상·하원 의원 65명에게서 반도체 지원을 주문하는 서한을 받았다면서 중국 공산당이 “반도체 공급망을 재편하고 지배하려는 공격적 계획을 갖고 있다”는 서한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정부의 강력한 지원 속에 반도체 기술을 성장시키고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여온 중국에 대한 강한 견제 심리도 그대로 드러낸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의에서 반도체 웨이퍼를 들어 보인 뒤 “내가 여기 가진 칩, 이 웨이퍼, 배터리, 광대역, 이 모든 것은 인프라”라고 규정했다.

반도체 문제를 단순한 칩 수급난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기초 인프라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의중을 드러냈다는 분석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업 대표들을 향해 “우리의 경쟁력을 당신들이 어디에 투자하느냐에 달렸다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알 것”이라며 “그동안 미국이 연구·개발에서 뒤처졌는데, 직설적으로 말해서 우리는 향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악관은 이날 회의 이후 보도자료를 내고 “반도체 부족의 영향에 대해 업계 지도자들로부터 직접 듣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단기 접근법들을 논의했다”며 “참석자들은 반도체 공급망의 투명성 개선을 통해 현재의 부족현상을 완화하고 공급망 전반의 수요예측을 개선해 향후 과제를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웃고있는 조 바이든. 사진. 개인 SNS.
웃고있는 조 바이든. 사진. 개인 SNS.

바이든 만난 삼성전자, 신규 투자로 화답할까?

바이든 미 대통령이 직접적으로 중국을 견제하는 동시에 반도체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를 촉구하고 나서면서 국내 기업인 삼성전자가 어떤 답을 내놓을지 관심을 모은다.

다만 젠사키 백악관 대변인이 이날 기자들에게 “이번 회의가 반도체 부족 사태에 대한 구체적인 결정이나 발표로 곧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바이든 대통령이 반도체 부족에 영향을 받은 기업들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고 싶은 것”이라고 선을 그으면서, 구체적인 결정이나 발표로 곧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미국이 반도체 부문 투자에 공격적으로 나설 것임을 시사하면서 삼성전자의 미국 투자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나는 ‘미국 일자리 계획’을 통과 시켜 미국에서 한 세기에 한 번 나올 투자를 만들어내기 위해 당신들 모두 및 의회와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이미 텍사스 등을 후보지로 170억달러(약 20조원) 규모의 파운드리 설비 투자를 계획 중인데, 이날 회의를 기점으로 미국의 요구가 향후 추가적인 삼성전자의 메모리 설비 증설 검토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부터 미국에서 파운드리 신규 투자를 검토해왔다. 그러다가 지난 2월 텍사스주 한파로 파운드리 공장이 가동중단되는 등의 여파까지 겹쳐 투자 결정이 지연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텍사스 주 정부에 제출한 투자의향서에서 오스틴 파운드리 공장 추가 건설로 지역 사회에 총 89억달러(약 10조원)의 경제 효과가 있으며, 공장 건설 과정에서 약 2만개의 일자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현지 인프라 확충 요청이 있을 경우 빠르게 관련 로드맵을 가동하며 세제 혜택 등 다양한 편의를 누릴 수 있다.

중국과 미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

다만 삼성전자는 미국의 노골적인 중국 견제로 다소 난처한 상황이 연출될 가능성도 있다.

삼성전자에 중국은 미국 못지않게 중요한 시장이다. 특히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에서 중국의 매출 비중이 높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전체 중국 매출은 약 37조8067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16%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시안에 해외 유일 메모리 공장으로서 낸드플래시 팹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미국은 중국을 국가안보위협으로 규정하고 강하게 압박하면서 치열하게 대립하면서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상황이 복잡해지는 모양새다.

이번 반도체 회의를 주재하는 담당자가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브라이언 디스 NEC 위원장이라는 점에서도 미국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안보'와 직결된 이슈로 바라보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실제로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노골적으로 중국을 견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때문에 삼성전자가 백악관 회의에 참석한 이후 신규 투자로 미국에 화답할 경우 중국과의 관계도 불편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