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환경정보, 2025년 ESG 정보 공시 의무화

기업들 공개 정보와 산출 방식 확정 필요해

기업 문의 폭주에 KCGS ESG 평가 1개월 이상 지연

사진 : 데일리임팩트 DB
사진 : 데일리임팩트 DB

[데일리임팩트 이승균 기자] ESG 평가와 관련해 국내 상장기업들이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피드백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남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ESG 공시 의무화가 밀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2025년 시가총액 2조원 이상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를 대상으로 ESG 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환경 정보 공시는 2022년부터 자산총액 2조원 이상 기업이 의무화된다. 지배구조 보고서 공시는 2019년 의무화됐다.

해당 기업들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비재무 정보를 담아 2025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통해 공시해야 한다.

2021년 ESG 평가 결과를 토대로 어떤 정보를 관리하고 공시해야 하는지 확정지어야 해 ESG 전담팀에서는 사실상 오답노트를 만들고 있는 셈이다.

GRI 등 보고 기준으로 특정 비재무 정보를 공시하기로 확정했다면 해당 정보를 산출하는 방식을 함부로 변경할 수 없다. 재무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산출 방식이 변경된 항목은 주석 처리해 보고서에 담아야 한다.

국내 섬유 제조업체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ESG 공시도 결국  평가를 받기 위한 수단이라 판단한다"며 "올해 보고 범위와 항목을 확정하고자 평가기관 피드백에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다수 기업의 문의가 쏠리면서 한국ESG기준원의 정기평가 결과 발표는 연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ESG 평가업계에 따르면 한국ESG기준원은 환경, 사회 부문 평가를 지난 9월 8일에서 10월 28일로 연장했다.

지난해 10월 26일 ESG 평가 결과를 발표한 것과 비교하면 올해 정기 평가 등급 발표는 한 달 이상 늦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ESG기준원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올패 피드백 신청 기업이 폭증한 탓에 피드백 재신청 기간을 연장할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평가기관들은 ESG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과의 대면을 늘리고 있다.

국내 주요 ESG 평가기관인 서스틴베스트는 지난달 21일 온라인으로 ESG 평가체계 설명회를 개최하고 최종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 누락 데이터를 최소화하기 위한 절차 등을 안내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 기업들은 ESG 평가 결과에 불복하고 법적 대응도 불사하며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기업 ESG 리스크를 전문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소(후즈굿)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일부 기업은 평가 방식에 불복해 법적 조치하겠다고 통보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무엇보다 국내 주요 평가기관과 한국거래소가 기업의 리스크 요인에 대해 드러내기 시작하면서 마찰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거래소는 자체 운영하는 ESG 포털을 토대로 주요 기업의 ESG 리스크 데이터 서비스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ESG기준원도 B이하 ESG 등급에 대해서는 대외 공표하지 않았으나 2019년 이후 종합 등급을 포함한 환경, 사회, 지배구조 부문 개별 등급을 공개하고 있다.

평가기관과 기업의 접촉은 더욱 잦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2일 한국ESG기준원 좌담회에서 ESG 평가기관의 평가모델 적적성에 대해 시장이 판단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공개하기로 했다.

나아가 ESG 평가업계에서는 공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일명 패시브 평가가 주류화 되면서 기업과의 접촉이 더욱 잦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MSCI 등 복수 평가기관들은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고 산업별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 대상 기업을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과정에서 규칙에 기반한 데이터 자율 수집 기술을 바탕으로 평가 방식을 고도화하고 있다.

ESG 평가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규제기관, 정부를 통한 데이터 자동 수집과 모델링 기술이 발달 할수록 평가 결과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