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하나금융그룹

[미디어SR 김사민 기자] 안정적 노후자금 확보를 위해서는 금융상품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연금 가입과 부동산 보유가 빠를수록 유리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가 서울·수도권과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남녀 퇴직자 1000명의 삶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들 중 노후자금이 충분하다고 스스로 평가한 ‘금(金)퇴족’은 전체 응답자의 8.2%에 불과했다. 

100년 행복연구센터가 11일 발간한 보고서 '대한민국 퇴직자들이 사는 법'에 따르면  퇴직자들은 퇴직 후 생활비로 평균 월 252만원을 지출하며, 3명 중 2명은 퇴직 전과 비교해 생활비를 28.7% 줄였다고 응답했다. 

퇴직자 중 절반(55.1%) 이상은 재취업(37.2%)이나 창업(18.9%)을 하는 등 생활비를 경제활동에 의존하고 있었다. 미취업자 중 65%도 경제활동을 준비하고 있는 취업 대기자로 조사됐다. 퇴직자의 배우자도 절반 이상(58.6%) 일을 한다고 응답해 가구 단위로 보면 경제활동 비중은 84.8%에 달했다.

경제활동 수입은 평균 394만원이지만, 퇴직자 중 36.4%는 일을 그만두면 당장 또는 1년 이내에 형편이 어려워질 거라는 우려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 '괜찮은 생활 수준'을 위해 월 400만원 이상 필요하다고 기대해 실제 생활비와 바람 사이에 괴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54.2%는 노후대비를 위해 평균 월 110만원을 저축하며, 보유주택 활용이나 여생 동안 생활비를 지급하는 상품에 관심이 많았다. 가장 큰 걱정은 '앞으로 늘어날 의료비(71.7%)'와 '노후자금 부족(62.0%)', '자녀의 결혼비용(56.2%)'이었다. 이같은 걱정으로 퇴직자 중 65%는 직장에서 물러난 뒤 심적인 후유증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반면 퇴직자들 중 스스로 노후 자금이 충분하다고 느끼는 '금퇴족'은 △조속한 연금 가입, △투자금융자산 활용, △지속적인 정보 수집과 자금 운용, △내 집 마련, △부동산 보유의 5가지 경향성을 지니고 있었다. 

금퇴족은 스스로 노후자금이 충분치 않다고 평가한 퇴직자들보다 이른 시기에 연금에 가입했다. 퇴직연금·연금저축 등 연금 가입률은 30대 초반에 이미 28.0%를 기록했으며, 40대부터는 46.3%가 연금으로 노후자금을 마련했다. 이에 반해 일반 퇴직자는 30대 이전 연금 가입률이 20.4%, 40대 후반이 되어서도 32.0%에 그쳤다. 

금퇴족 4명 중 1명(26.8%)은 25세 이전부터 주식·펀드·파생상품 등으로 노후자금을 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30대 후반에 들어서는 절반가량(47.6%)이 투자금융상품을 활용했다. 이들은 금융회사 자산관리 설명회, 투자정보 도서, 인터넷 등의 정보를 꾸준히 활용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노후자금을 만들었다.

특히 금퇴족의 92.7%가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해 안정적인 노후 준비에 주택 마련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절반에 가까운 46%가 35세가 되기 전 생애 첫 주택을 마련했다. 나아가 이들 중 72.0%는 주택 외에도 다양한 부동산을 보유하면서 현금흐름을 만들었다. 유형별로는 주택(47.6%), 토지(25.6%), 상가(13.4%), 오피스텔(12.2%) 순으로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덕분에 금융자산, 임대소득 등으로 소득원을 분산, 생활비 원천을 다양화해 경제활동에만 매달리지 않아도 되는 노후를 보낼 수 있다.

김혜령 100년 행복연구센터 연구위원은 미디어SR에 "경제적으로 노후 준비가 안 된 상황에서는 '일을 더 하라', '저축을 더 하라', '수익률을 올려라' 세 가지 외에 묘수는 없다"면서 "노후 준비가 잘된 금퇴족의 케이스를 통해 사회 초년생들이 일찍이 자산관리를 시작하는 것의 중요성을 간접적으로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