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500억달러 규모 전망, 신년사서 언급되기도
8개사 '배출권 매매' 부수업무 신고…전담조직 마련

여의도 증권가. 사진. 픽사베이.
여의도 증권가. 사진. 픽사베이.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 신성장동력 확보에 고심중인 대형증권사들이 올해 탄소배출권 사업을 새로운 수익원으로 점찍었다.

주요 증권사 CEO들 또한 신년사를 통해 탄소배출권 관련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이같은 경영전략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다만 여전히 배출권 거래량이 많지 않아 실질적인 수익창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배출권 시장이 더욱 활발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에 '자발적 탄소배출권에 대한 자기매매 및 장외거래 중개업무'를 부수업무로 신고한 증권사는 8곳(하나·한국투자·KB·SK·NH투자·신한투자·미래에셋·삼성증권 등)으로 나타났다.

탄소배출권은 정부가 기업에 일정 배출권 범위 내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탄소 배출 감축 의무가 있는 배출권 할당업체들은 정부에서 받은 무상 할당분을 모두 소모한 경우, 배출권 시장을 통해 구매해야 한다.

배출권 시장은 할당업체들이 배출권을 매매하는 시장과 규제 대상이 아닌 기업이나 기관 등이 자발적으로 거래하는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으로 나뉜다.   

증권사는 규제 대상이 아니기에 주로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을 사고판다. 이때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중개수수료나 관련 ETN 등 배출권 파생상품를 만들어 수익을 창출한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는 자발적 탄소배출시장의 규모가 2021년 기준 10억달러(약 1조2000억 원)에서 2030년 500억달러(약 63조원 규모)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증권사, 배출권 시장 선점 위해 시장조성자 신청 및 전담조직 구축 

증권업계서는 이 같이 새 먹거리로 다가올 탄소배출권 사업을 위해 배출권 시장조성자를 자청하거나 조직 신설에 나서고 있다. 환경부가 선정하는 배출권 시장조성자는 배출권 매수와 매도를 통해 시장 활성화와 가격선점 효과도 가져 갈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KB증권은 최근 신년사에서 언급할 정도로 탄소배출권 사업에 관심이 많다.  최근 박정림, 김성현 KB증권 대표는 신년사에서 "해외 현지법인의 ESG 경영체계 수립, 탄소배출권 관련 사업역량 강화를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KB증권은 최근 환경부의 배출권 시장조성자로 선정됐으며, 지난해 7월에는 FICC(채권·외환·상품)운용본부 내 배출권 사업을 전담하는 탄소·에너지금융팀을 신설했다.

NH투자증권은 작년 5월 운용사업부 내 클라이언트(Client) 솔루션본부 직속으로  탄소배출권 사업을 전담하는 탄소금융팀을 신설했다. 

한국투자증권과 하나증권과 SK증권은 KB금융보다 앞서  배출권 시장조성자로 참여중이다. 

한국투자증권은 또한 배출권 금융상품과 탄소중립 솔루션,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 개발도 추진 중이다.

하나증권은 지난해 3월 증권업 가운데 가장 먼저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에 뛰어들었으며, 배출권 운용 전담부서도 운영 중이다.

SK증권은 지난 2021년 국내 금융권 최초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서 발급하는 탄소배출권을 획득했고, 현재 기후금융본부에서 배출권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여전히 거래량 낮은 탄소배출시장...증권사 "2025년은 되야 수익 창출 가능 할듯"

다만 탄소배출권 사업이 실제 매출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소요 될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매년 국내 배출권 시장 내 거래 규모는 늘어나고 있으나, 수익이 창출될 만큼 활성화 되지 않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온실가스 배출권 일평균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10만9000톤과 25억4800만원으로 전년도 거래 규모(10만5000톤, 24억4300만원)보다 늘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아직 배출권 사업을 통한 수익은 발생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기업들이 배출권에 관심 갖는 것에 비해 여전히 배출권 시장이 초기단계라 거래나 파생상품에 대한 수요도 많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2025년쯤은 되야 관련 법이 완화되고,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배출권 거래가 활발해져 수익으로 연결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때를 대비해 미리 준비하고 있는 것"이라고 답했다.

실제 정부는 현 10% 수준의 배출권 유상할당(할당업체가 무상할당을 제외하고, 시장에서 구입해야 하는 배출권)비율을 2026년부터 점차 확대할 전망이다. 

자본시장연구원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배출권 시장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유상할당 비중 확대와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주요 환경규제가 2026년부터 시행되기 때문에, 배출권 사업은 장기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