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경제는 기업의 경영 전략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주목받습니다. 탄소중립과 같은 ESG 경영의 핵심 테마와도 연결되는 등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데일리임팩트는 오는 27일 '순환경제 대응 전략과 ESG 경영'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합니다. 포럼을 통해 순환경제 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모범 사례를 짚어보고자 합니다.

포럼에 앞서 '순환경제 시대' 기획을 통해 순환경제와 ESG 트렌드를 살펴보고 순환경제가 주목하는 배터리와 플라스틱 산업과 국내 우수 기업의 활동을 조명합니다. [편집자 주]
 

사진 : 데일리임팩트 DB
사진 : 데일리임팩트 DB

순환경제 ESG '확장성, 서비스 개선, 경제성' 주목
배터리 여권, 탄소국경세 기업 순환경제 안착 압박
구독, 공유경제 모델 순환경제 위한 제품 서비스로 각광 

[데일리임팩트 이승균 기자]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ESG 경영 요소로 확장성, 서비스, 경제성이 주목받는다.

자원 고갈과 환경 오염 등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가 순환경제와 관련한 제도 안착에 속도를 내면서 환경 경영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17일 산업계에 따르면 유럽연합은 순환경제 실현을 위해 기존 배터리 지침을 개정한 배터리 여권제도를 시행하기 위한 법제화를 서두르고 있다.

배터리 여권은 배터리의 생산, 이용, 폐기, 재사용, 재활용 등 전 생애주기와 관련한 정보를 담아 배터리 거래에 활용하는 제도다.

국내 기업들도 EU 배터리 여권 제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2026년 해당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최근 통과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마찬가지로 법안이 산업에 미치는 여파가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주요 기업은 순환경제 영역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나 해당 제도가 통과하면 제품과 서비스의 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배터리는 유럽 국경을 못 넘게 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해당 제도는 유럽연합의 환경 규제에 부합하는 배터리만 국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해 순환경제 시스템을 안착시키지 못한 기업은 사실상 퇴출되는 셈"이라고 했다.

무엇보다 배터리 여권 제도가 시행되면 환경 경쟁력이 떨어지는 제품에 대한 제재도 가능한 상황이다. 배터리 여권 정보로 환경 영향성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배터리 여권은 국경 통과를 위한 최소 요건에 불과하고 환경 경쟁력이 떨어지는 제품에 대한 무역 장벽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도 다분하다.

나아가 배터리와 같은 특정 제품이 아닌 모든 제품과 서비스의 환경영향평가로 확장될 것이라는 시선도 있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사실상 유럽연합은 배터리를 시작으로 역내에서 거래되는 주요 제품에 대해 여권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여권뿐만 아니라 탄소국경세 역시 기업이 환경 경영 경계를 확장해야 하는 대표적 이유다.

탄소국경세는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가 느슨한 국가가 강한 국가에 상품과 서비스를 수출할 때 적용받는 무역 관세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유럽연합은 2023년 1월 1일부터 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기 등 5개 분야에 탄소국경세를 적용한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도 탄소국경조정세 도입을 검토 중이다.

탄소국경세가 도입되면 수입업자는 각 제품의 실제 탄소 배출량과 간접적인 탄소배출량, 상품에 부과되는 탄소세 등 세금 등 정보를 담아 당국에 제출해야 한다.
 

사진 : 데일리임팩트 DB
사진 : 데일리임팩트 DB

제품과 서비스 제공 방식 바꿔라

제품과 서비스를 최종 소비자에 제공하는 방식의 변화도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주요 ESG 경영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제품 수명을 연장하거나 투입되는 원재료를 획기적으로 절감하기 위해서는 판매 방식의 변경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2017년 인기를 끌었던 공유·구독경제 모델이 대표적인 순환경제 실현 서비스로 주목받는다. 우버, 에어비앤비 등 거대 서비스 기업에 이어 주요 제조업체가 순환경제에 공유, 구독경제 모델을 접목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비즈니스 생태계 확장을 위해 사내 독립기업 쿠루를 출범했다고 지난 5일 밝혔다. LG엔솔은 쿠루를 통해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BSS) 관련 사업에 진출한다. BSS는 전기이륜차용 배터리팩을 충전이 아닌 교환 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CATL을 중심으로 한 중국 배터리 기업도 공유 모델을 기반으로 폐배터리 사업에 진출한다.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공사 페트로차이나는 지난 9월 상하이자동차, CATL과 합작으로 전기차 교환용 배터리 공급을 위한 합작투자회사를 설립했다.

중국 전기자동차 업체 니오는 한 발 빠르게 교환식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8월 초 헝가리 페스트 공장을 착공했다. 2025년까지 중국과 유럽에 교환소 4000개를 구축한다는 포부를 드러내고 있다.

국내에서는 피엠그로우가 전기차 배터리 구독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관련 법 개정 등을 거쳐 올해 하반기부터 차량 이용자 대상 구독 서비스를 개시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순환경제 촉진을 위해 전자제품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럽의 그로버 등 기업이 각광받고 있어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 제공 방식의 변경은 줄이을 것으로 보인다.

애플 아이맥 제품의 포장지. 출처 : 애플 2022년 환경보고서
애플 아이맥 제품의 포장지. 출처 : 애플 2022년 환경보고서

경제성 확보...규모의 경제가 실현되는 '친환경' 생태계

애플과 삼성전자 등 규모의 경제 실현이 가능한 주요 전자업체가 주력(메인스트림) 제품에 재활용 소재 활용을 늘리고 있어 사실상 경제성 확보까지 얼마 남지 않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애플은 2021년 사용한 모든 제품 소재 가운데 20%를 재활용 소재로 변경했다. 알루미늄은 59%, 인증된 재활용 희토류는 45%, 주석은 30%를 재사용 소재로 사용했다.

삼성전자 역시 올해 초 출시한 갤럭시 S22 시리즈, 갤럭시 탭 S2 시리즈 등에 폐어망을 활용한 재활용 소재를 사용했다. 비교적 가벼운 갤럭시버즈2 프로 등 이어폰에는 전체 무게의 90%를 재활용 소재로 만들었다.

삼성전자는 소비자 가격에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 재활용 소재 사용을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전자업계에서는 애플과 삼성전자와 같은 주요 제조사가 순환경제 시장에 뛰어들면서 가격 안정화는 물론 규모의 경제를 이뤄 경제성을 높이고 있다는 판단이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주력 제품에 재활용 소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으로 소재를 조달 받아야 하기에 이러한 공급망 구축이 역으로 폐플라스틱 등의 공급을 안정화 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진수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팀장은 데일리임팩트에 "프라스틱 등 재활용 분야는 지금 당장 천연 자원을 이용한 원료 이하로 가격이 떨어지지는 않겠지만 생태계 복원을 위한 자원 재활용 등 공급망 안정화가 경제성 확보로 연결되는 것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