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한국은행
자료. 한국은행

[미디어SR 김사민 기자 ] 한국은행이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 잠재성장률 하락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29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 변화와 우리 경제에의 영향'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한국은행은 "산업·노동 구조 변화와 글로벌 교역 둔화로 생산요소 투입이 부진해지면서 잠재성장률에 하방압력이 증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활동의 증가로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투자가 확대되면서 이에 따른 생산성 향상이 잠재성장률 하방 압력을 상쇄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거라고 내다봤다. 
 
한은은 또한 "예비적 저축 유인이 커지고, 디지털경제 가속화에 따른 하방압력으로 저인플레이션 추세가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글로벌 유동성 누증과 글로벌 공급망 약화로 인한 상승압력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은은 코로나19 확산은 경제 주체들의 행태에도 변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예를 들면 가계의 경우 생계와 안전에 위협을 겪으면서 위험회피성향이 높아지고, 기업은 예기치 못한 생산 차질로 효율성뿐 아니라 복원력과 유연성에도 높은 가치를 부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한은은 "가계 및 기업의 비대면 활동 유인이 커지면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보호무역 강화, 인적교류 약화로 탈세계화 추세도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탈세계화 추세가 확산하면서 세계교역 성장세가 이전보다는 둔화하나, 디지털 경제 가속화가 ICT 기반 교역을 확대하면서 부정적 영향을 일정 부분 상쇄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제조업의 스마트화가 촉진되고 비대면 산업, ICT 서비스, 친환경, 바이오헬스 중심 산업구조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이라면서 "노동시장에서는 숙박음식, 도소매, 판매직 등 대면업무 비중이 높은 직업군의 고용이 감소하는 반면 비대면 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여러 국가에서 똑같이 나타나기보다는 국가별로 다양한 방향과 속도로 나타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디지털 경제 가속화의 경우 각국 대응에 따라 생산성을 높이는 긍정적 측면이 부각될 수도 있고, 반대로 노동력 투입 감소라는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될 수도 있다. 

한은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코로나19 위기의 영향에서 벗어나더라도 가계와 기업, 정부의 행태가 이전과 같은 모습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단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