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소비자에 대한 지원과 보호를 강화하고 이분들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하는 포용적 금융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하겠습니다" - 지난 1월 기자간담회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 발언. 제공 : 금융위원회

정부가 비금융부문에 대한 개인신용평가 산업의 진입 장벽을 낮춰 금융정보 중심 평가로 불이익을 받아 온 금융 취약계층의 불이익을 완화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5일 개인신용평가(CB) 산업이 개인정보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신용평가를 정교화하고 비금융정보 특화 CB사 설립 진입장벽을 대폭 완화하는 내용이 담긴 금융분야 데이터 활용 종합방안을 발표했다.

CB사가 통신료, 공공요금 납부실적, 체크카드 실적, 민간보험료 납부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 개인신용점수를 금융회사에 제공해 사회초년생, 전업주부, 노인 등 금융이력 부족자의 개인신용평가상 불이익을 완화하기 위해서다. 

금융위원회 추산 금융이력 부족자는 1,107만 명이다. 금융위는 최근 2년 내 카드 사용 이력이 없고 3년 내 대출 경험이 없는 자를 금융이력 부족자로 정의하고 있다. 20대 330만 명, 60대 이상 고령층에만 350만 명이 있다.

개인신용평가 시장은 NICE(나이스평가정보)가 75.9%, KCB(코리아크레딧뷰로)가 20.8%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 나이스평가정보 관계자는 "금융위원회가 국세청과 보건복지부와 협의해서 사회보험료 납부 실적, 납세실적 등을 전달받을 수 있게 도와주면 그것을 반영해 신용평가에 적용할 계획에 있다"고 답했다. 

KCB의 경우 개인이 국민연금, 통신요금, 공공요금 등을 등록해 신용도를 관리할 수 있는 K-스코어를 운영하고 있다. KCB 관계자는 "올크레딧 사이트를 통해서 성실상환 정보 등 비금융정보를 개인이 등록하면 평가에 반영된다. 은행에서 자체 CSS(금융회사 내부 신용평점시스템)를 사요하고 있지만 (K-스코어도) 금융사가 참고로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대출자 개개인 신용위험을 정교히 반영한 대출금리 산정과 등급제가 아닌 점수제 평가 방식으로 약 240만 명의 금융소비자에게 연 1% 수준의 금리절감 혜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