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Credit :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지난 22일 유엔글로벌콤팩트한국협회와 PRI가 함께 "책임투자원칙의 이행 - 국제 동향 및 국내에서의 책임투자"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본 세미나에는 마틴 스켄키(Martin Skancke) PRI 의장, 프리야 메서(Priya Mathur)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 이사회, 로렌조 사(Lorenzo Saa) PRI Network and Global Outreach 부서장, 양춘승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상임이사, 임홍재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 임대웅 유엔환경개발 금융이니셔티브 한국대표, 피터 웹스터(Peter Webster) 윤리투자조사기관 대표가 참석했다.

이제 막 발걸음 뗀 한국의 사회책임투자
작년 국민연금법 일부개정안에 '투자대상과 관련한 ESG를 고려할 수 있다'는 명시는 공적연기금의 사회적책임에 대한 첫 발걸음이 될 것이라 기대하였다. 하지만 "자산 1,300조원을 운용하는 공적연기금 64곳 중 PRI에 가입한 곳은 국민연금 뿐"이며 "사회책임투자 규모면에서도 유럽과 미국이 시가 총액의 20%를 상회하는 반면, 국내는 약 7.6조원 규모로 시가총액의 1%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라고 한국거래소 최경수 이사장은 전했다.

이날 공개토론의 주제는 '한국의 책임투자 방향'이었다. 현재 한국의 사회책임투자 진행상황에 대해 임대웅 대표는 "한국의 산업구조는 사회책임투자와 연관성이 높으며,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COP21은 우리나라 실물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양춘승 상임이사는 "스튜어드십코드나 ESG정보 공시에 대한 논의는 미흡한 수준이며, 새로운 금융 수요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DGs나 COP21이 어떻게 사회책임투자에 반영되는가에 대해서 피터 웹스터 대표는 "투자 선정에 있어 기후변화 정책, 이산화탄소 배출 관련 전략과 목표가 있는가"를 살펴봐야 하며, 자체 ESG 데이터를 통해서 "지금의 전세계 기업들의 노력으로 COP21를 달성하기에는 50점에 그치며, 한국의 평균은 이보다 낮은 38점 정도"라고 전했다.

강력한 정보공시 없이 사회책임투자 어려워
이어진 '한국에서 사회책임투자를 위해 노력해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토론자들 모두 '정책일관성'과 'ESG 정보공시'를 지적했다. 임대웅 대표는 "의미있는 정보 공개를 제도화하여 투자자에게 전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예시로 "정부가 기업별로 정한 탄소배출 할당량을 해당 기업 외에 알 수 없는데 투자하라는 것은 무의미하지 않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양춘승 상임이사는 "오랜시간동안 지켜본 결과 금융계의 자발적 노력으로 책임투자를 이끌기 어려웠기에, 국민연금법이나 공공조달법에 ESG 이슈를 고려하는 규제가 나오게 된 것"이라고 사회책임투자에 대한 정부와 국제기구의 리더십을 주목했다.

임홍재 사무총장은 "정책으로 사회책임투자를 이끄는 것에 동의하며, 더 나아가 이해관계자들 간 대화와 설득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프리야 메서는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의 경험에 빗대어 정보공시 확장 중요성을 설명했다.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도 ESG이슈와 상당히 떨어져있었으나 긴 협의 끝에 ESG이슈를 공론화하여 SRI의 좋은 사례가 된 것"이라며 답변을 마쳤다.

이번 행사를 공동주최한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책임투자원칙)는 6가지 책임투자원칙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 협력하는 국제 투자자들의 네트워크다. 투자 결정 시 자발적으로 환경, 사회, 거버넌스 이슈를 고려한 소유권 행사를 권고하고 있다. 현재 1,440개의 자산운용사, 연기금, 은행 등이 서명하였다. 한국에서는 2009년 국민연금관리공단이 PRI에 최초로 서명하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