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6년까지 기업대출 비중 60% 수준까지 확대
"대기업 대출은 연 30% 성장, 중기는 10% 성장 목표"

사진=우리금융그룹
사진=우리금융그룹

[데일리임팩트 김병주 기자]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선언한 우리은행이 이를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공개했다. 전체 대출에서의 기업 비중을 꾸준히 늘려 오는 2027년에는 기업금융 점유율 1위에 오르겠다는 야심찬 계획도 밝혔다.

다만, 기업대출 부문의 과열된 경쟁이 저금리 등 소위 ‘노마진’ 경쟁으로 흘러갈 경우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일단 우리은행은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도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우리은행은 7일 오후 진행된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위한 전략 발표회’에서 향후 기업금융 확대를 위한 전략을 공개했다.

우선 우리은행은 현재 자산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해 기업부문에 좀 더 비중을 두는 방식으로 전략을 세워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그간 공격적으로 자산을 늘려온 타 은행과 달리, 우리은행은 한정된 자본 탓에 타사 대비 효율성에 기반한 자산성장 전략을 펼쳐오면서 과거 기업대출 명가의 이미지가 다소 퇴색됐다는 자체진단에 기반한 것이다.

이날 발표에 나선 강신국 우리은행 기업투자금융부문장은 “현재 우리은행의 대출 포트폴리오의 경우 가계가 51%, 기업이 49%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며 “오는 2026년까지 기업대출 비중을 60%, 가계대출 비중을 40% 수준으로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전략을 기반으로 우리은행은 오는 2025년 기업대출 점유율 2위, 2027년에는 1위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기업대출 비중을 꾸준히 늘려나가겠다는 우리은행의 전략은 최근 뚜렷한 성장 정체기에 접어든 현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 상반기 기준 우리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약 160조815억원으로 4대 시중은행 중 가장 많은 기업대출 잔액(167조3000억원)을 기록한 KB국민은행에 이어 2위에 이름을 올렸다.

다만, 지난해 말 대비 성장률로 비교하면 우리은행의 성장률은 1.9%로 4대 시중은행 중 가장 낮았다. 특히, 기업대출 성장세를 기반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1분기 까지 ‘깜짝 리딩뱅크’ 자리에 올랐던 하나은행의 성장률(7.4%)과 비교하면 그 차이는 더욱 두드러진다.

기업명가 재건 발표회에서 설명하고 있는 강신국 우리은행 기업투자금융부문장 / 사진=우리은행
기업명가 재건 발표회에서 설명하고 있는 강신국 우리은행 기업투자금융부문장 / 사진=우리은행

강신국 부문장은 “현재 대기업 대출의 경우 연 평균 30% 성장, 중소기업 대출은 연 평균 10% 증가를 목표로 설정했다”며 “다만, 중소기업 중심의 건전성 리스크 우려도 있는 만큼 심사인력을 확충하고, 현장심사에 적극 나서는 등 이와 관련된 관리도 철저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타사 대비 다소 낮은 자본비율이 공격적 대출, 특히 건전성 우려가 큰 중기대출 공급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지난 6월 말 기준 우리은행의 BIS총자본비율은 16.26%로 4대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낮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기업대출 부문에서 타 사 대비 가장 약점인 포인트가 바로 낮은 자본비율이라는데 동의한다”며 “중기 대출 공급에 따른 자본비율 하락 우려도 인지하고 있지만, 최근 가계대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데다 연 6% 범위에서 자산이 늘어날 경우 적정 자본비율 유지에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은행 간 기업대출 경쟁이 자칫 출혈경쟁으로 이어질 경우 저금리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가능성도 거론됐다. 다만 이에 대해 우리은행측은 “경쟁이 과열되면 금융 부실로 이어지거나 진짜 돈이 필요한 고객들에게 자금을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며 “다만 ‘마진없는 자산은 우량자산이 아니다’라는 전제하에 수익성 개선을 위한 계획도 충분히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우리은행은 기업금융 강화를 위해 관련 인력 강화 및 보상체계 재정비등의 방안도 공개했다. 특히, 자금 공급이 가장 필요한 이차전지 등 신성장사업 분야의 신속한 자금 공급을 위해 ‘신성장 전담팀’을 신설해 속도를 개선하고 건전성도 관리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