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오션' 편의점 업계, 점포 쟁탈전 치열
기존에는 가맹점주 수익 보전 위주로 운영
편의점 기능 확대…현장 근로자 역할 중요
인력 이탈 방지 위해 적극적 복지정책 운영

CU가 편의점 직원들이 급여를 선지급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진. CU.
CU가 편의점 직원들이 급여를 선지급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진. CU.

[데일리임팩트 황재희 기자] CU, GS25, 세븐일레븐의 복지 혜택을 정교화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가맹점주가 사업 최전선에서 뛰는 공격수이자 수비수 역할을 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에 대한 혜택을 늘리는 건 당연하다. 다만 편의점 업계 빅3로 분류되는 3곳의 복지는 현장 근로자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게 이채롭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CU는 급여 선지급 서비스를 실시 중이다. 핀테크사와 공동개발한 페이워치 앱을 통해 QR코드로 근무자 인증을 받고 급여 통장 증빙이 되면 급여일 이전에도 일부를 미리 수령할 수 있다. 오는 4월 말까지 수도권에서 먼저 실시한 뒤 적용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인출 가능 금액도 최대 15만원에서 월급 규모에 따라 증액하게끔 조정할 계획이다.

현장 근로자에 대한 복지 혜택이 없진 않았다. 일례로 BGF리테일은 입사 시 서류 전형을 면제해준다. 세븐일레븐도 점주의 추천을 받은 근로자에게 가산점을 준다. 이 같은 혜택은 일회성에 그친다는 게 한계였다. 

최근 편의점 업계의 복지 정책은 적극적으로 바뀌고 있다. 조건 없이 모든 근로자가 동일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또 장기적으로 꾸준히 운영된다는 점에서도 이전과는 차별화 된다. 

GS25는 올해 경영주와 근로자 안전강화를 위한 예산을 약 25% 늘린다. 가맹점주에게 연 4회의 심리상담을 지원하고, 야간 근무자 안심보험을 도입키로 했다. 불의의 사고를 당할 경우, 위로금을 지급한다. 세븐일레븐도 점주 심리케어 서비스, 근무자 안심보험 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CU는 편의점에서 일하는 단기 근로자도 가맹점주와 동일한 복지몰을 이용하고, 의료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마트24 또한 가맹점주와 가족, 근무자까지 종합건강검진을 받을 때 할인해주기로 했다.

편의점 업계가 복지 대상을 넓히는 이유는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해서다. 지난해 기준 CU 1만6787개, GS25 1만6448개, 세븐일레븐 1만2000여개, 이마트24 6365개 순이다. 1위부터 3위까지의 점포 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이다.

편의점 점포 수는 업체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그러나 점포 수는 사실상 포화상태다. 공격적으로 출점을 할 수 없는 만큼, 경쟁사 점포의 브랜드 전환을 유도하는 게 빠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핵심상권에 있는 점포의 계약이 만료되길 기다렸다가 빼앗아오는 '쟁탈전'이 비일비재하다"며 "우량점포를 놓치면 다시 뚫기 힘들기 때문에 사업 안정을 위해서라도 점주들의 이탈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때문에 편의점 업계는 점주들이 가져가는 수익배분율을 높이고, 최소 수익보전 기간을 확대하는 등 점포 지키기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 중이다. 

다만 편의점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현장 근로자까지 복지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는 요구가 강해졌다. 편의점은 금융, 배달, 중고거래 같은 일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플랫폼으로 성장했다. 그만큼 현장 근로자는 시재 점검, 매장 관리, 물류 정리 같은 기존 편의점 업무 외에 추가로 소화해야 할 업무가 늘었다. 현장 근로자의 업무 피로도 누적은 인력의 잦은 이탈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한 복지정책을 설계하는 것이다. 

게다가 편의점은 범죄에 취약하다는 문제도 안고 있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24시간 운영되고 있어서다. 2021년에만 편의점에서 1만5489건의 사건·사고가 발생했다. 이 중에는 심야 시간 여성 근로자 1인이 근무하는 편의점을 타깃으로 한 경우도 적지 않다. 하지만 CCTV, 비상벨 외에 범죄 예방책이 전무하다시피 하다. 일각에서 담배 광고 금지 제한 조치에 따라 편의점 외벽에 설치된 불투명 시트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도 편의점을 노린 범죄가 증가하는 것과 무관치 않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숙련도 높은 인력이 점포 경쟁력이므로, 현장 근로자의 만족도를 높이려 복지정책을 강화하는 것"이라면서 "무엇보다 현장 근로자들은 해당 업체이 타깃 소비자층이기도 하다. 현장의 니즈를 반영한 복지를 제공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