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대출 만기연장·이자 유예 조치' 종료 예정

4차 대유행 본격화에 금융지원 '재연장' 가능성

역대급 실적 쓴 금융지주사도 '긍정적 검토' 중

서울 시내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
서울 시내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

[미디어SR 김병주 기자]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을 포함한 은행업계의 상반기 실적 발표가 이번 주 마무리되는 가운데, 오는 9월 말로 예정된 ‘코로나19 대출’의 만기 연장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애초 추가 연장은 없다고 단언했던 금융당국의 기조가 변화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불황 속에서도 역대급 실적 기록을 쓴 주요 은행들도 추가 연장에 긍정적 견해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2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지난 2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국내 은행업계(1‧2금융권 포함)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대상으로 진행한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 유예 규모는 약 205조원에 육박한다.

특히 이 가운데 절반가량은 국내 5대 시중은행의 몫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2일 기준 5대 시중은행에서 만기가 연장된 대출금액과 이자의 규모는 108조2592억원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만기가 연장된 대출잔액(재연장 포함)은 100조원에 육박(99조7914억원)했고, 이밖에 원금을 갚고 있던 기업의 상환을 미뤄주는 ‘분할 납부액(8조4129억원)’과 유예된 이자상환금(549억원)도 포함돼 있다.

금융업계에서는 지난해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금융당국의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금융지원 정책에 발맞춰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시작했다. 이후 코로나19 사태가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과 올해 3월, 두 차례 ‘만기 연장’ 조치의 6개월 연장을 단행했다.

불과 1~2달 전만 해도 금융당국은 시중은행들의 재정건전성 제고와 대출‧이자유예에 따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오는 9월 코로나19 대출의 만기 연장 및 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종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급격한 대출 및 이자 상환으로 인한 차주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출자 연착륙 지원 5대 방안’도 정해 원만한 상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조치도 마련했다.

하지만, 코로나19사태의 4차 대유행이 현실화하면서 금융당국의 입장이 바뀔 가능성이 조심스레 점쳐지고 있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예정된 만기 연장 조치 종료 시점까지 한 달 이상 남은 만큼 시간적 여유를 두고 검토할 생각”이라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포함해 코로나19 방역 상황을 고려해 관련 사항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금융당국은 재연장 여부에 관한 은행업계 내부의 의견을 모으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만기가 연장된 대출 및 이자유예 규모 현황, 재연장에 따라 예상되는 은행 내 재정건전성 등과 관련한 자료를 받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왼쪽부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본점. 사진. 각 사 제공
(왼쪽부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본점. 사진. 각 사 제공

한편, 재연장 조치의 연장에 대한 은행권 내부의 입장에도 관심이 쏠린다. 일단 미디어SR이 확인한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관계자들은 모두 금융지원 조치의 재연장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었다.

한 시중은행의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사실상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결정에 따를 수밖에 없다”며 “4차 대유행이 현실화한 상황에서 (대출 상환 연장‧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재연장될 가능성이 높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국내 금융지주사들의 역대급 분기 실적을 써 내려가고 있는 만큼, 소위 ‘고통 분담’의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재연장 조치에 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오는 27일 신한금융지주를 끝으로 5대 금융지주사들의 상반기 성적표가 모두 공개되는 가운데, 모든 지주사들이 역대급 실적을 쓸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NH를 제외한 4대 지주사들은 호실적에 따른 중간배당 시행을 사실상 확정한 상황이다. 이처럼 역대급 실적에 따른 추가 배당을 결정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소상공인과의 고통 분담에 머뭇거린다면 자칫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업계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금융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디어SR에 “금융사의 실적과 정부 차원의 조치 수용 여부를 연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면서도 “대출 상환 및 이자 유예 조치가 재연장 되더라도 재정적 측면에서 큰 부담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잠재적 부실기업 및 차주를 확인하고 관련 조치를 준비하기 위해, 이자 상환 유예 조치는 종료되는 쪽으로 논의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