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향후 은행평가에 '녹색금융' 요소 반영 예정

녹색금융 관련 펀드, 투자, 예적금 상품 출시 활발해

사진. 이미지투데이.
사진. 이미지투데이.

[미디어SR 김병주 기자] ESG경영 강화에 집중하는 국내 금융권 사이에서 ‘녹색금융’ 바람이 불고 있다. 최근 금융당국이 ‘녹색금융’ 요소를 은행평가의 주요 기준 중 하나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더욱 구체화되고 있다.

주요 은행들은 녹색금융 관련 펀드, 투자, 예적금 상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녹색금융과 ESG경영 강화를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2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원회는 녹색금융 관련 3대 분야 12개 과제를 체계적으로 추진해 금융권이 전 세계적 기후변화 대응 흐름에 동참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산업은행·수출입은행·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은 저탄소·친환경 활동과 관련한 녹색 분야 지원 비중을 향후 10년 간 두 배로 늘리기로 했다.

또한 민간금융사를 저탄소 경영 활동 수준에 따라 ‘녹색’과 ‘비(非)녹색’으로 구분하는 녹색분류체계(K-Taxonomy)를 신설하고, 녹색금융에 지원 중 손실이 발생해도 직원이 징계 받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면책조항도 만들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이달 중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보 공개 가이던스를 제시해 자율공시를 유도하는 등 환경 정보 공시도 단계적으로 의무화할 계획”이라며 “이밖에 녹색금융 인프라 정비를 위한 작업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녹색금융 전략에 발맞춰 금융권도 바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가장 주목받는 영역은 ESG관련 채권과 펀드 투자다.

최근 우리금융그룹은 ESG경영 강화와 한국형 뉴딜 정책에 발맞춰 사회적, 환경적 가치 실현을 위한 ‘정책형 뉴딜펀드’에 3500억원 규모로 지원했다.

가업투자 부문에는 기업금융 분야에 강점이 있는 우리프라이빗에퀴티자산운용이 2000억원 규모의 뉴딜성장형 블라인드 펀드 조성을 제안했다.

인프라투자 부문에는 대체투자 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우리글로벌자산운용이 신재생에너지 발전자산을 주목적 투자 자산으로 1500억원 규모의 인프라 펀드 조성을 제안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우리은행과 우리금융캐피탈 등 자회사들이 펀드 출자자로 참여하는 등 그룹 차원에서 뉴딜금융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귀띔했다.

이미 우리금융의 핵심 자회사 우리은행은 국내 시중은행 달러화 벤치마크 채권 중 역대 최저금리의 외화 ESG채권(6000억원 규모) 발행에 성공하며 지속적인 관심을 드러낸 바 있다.

도규상 금융위 부위원장이 녹색금융 추진 태스크포스(TF) 제3차 전체회의를 비대면 화상회의로 진행하고 있다. 사진. 금융위원회.
도규상 금융위 부위원장이 녹색금융 추진 태스크포스(TF) 제3차 전체회의를 비대면 화상회의로 진행하고 있다. 사진. 금융위원회.

한편 해당 ‘정책형 뉴딜펀드’ 접수에는 우리금융뿐 아니라 국내 84개 운용사가 총 9조7000억원 규모로 신청하며 높은 인기를 자랑했다.

KB금융은 오는 2030년까지 그룹 탄소배출량을 2017년 대비 25% 감축하고 ESG상품‧투자‧대출을 현재 20조원 규모에서 50조원까지 확대를 목표로 ‘KB 그린웨이 2030’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은 지난해 총 4차례에 걸쳐 약 2조1500억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 자금을 조달한 바 있다.

이밖에 신한금융도 지난해 5억달러 규모의 ESG채권을 발행했다. 국내 금융지주 가운데 처음으로 그린본드(친환경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위한 채권)가 결합된 채권을 발행한 바 있는 신한금융은 올해도 관련 ESG채권을 추가 발행할 전망이다.

이밖에 NH농협, 하나 등 대다수 금융사들이 ESG채권 발행 및 관련 펀드 투자에 적극 나서며 녹색금융 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금융업계에서는 올해를 기점으로 녹색금융 전략이 더욱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ESG채권의 경우, 정부와 금융당국의 전폭적인 지원이 병행되는 만큼 더 다양한 친환경 프로젝트 기반의 채권 상품 출시도 기대된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미디어SR에 “녹색금융 채권은 보통 채권에 비해 발행비용은 비싸지만 훨씬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녹색금융 관련 펀드나 채권에 대한 투자자 및 기업의 관심이 높은 만큼 관련 상품의 규모 역시 급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