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2일은 정부가 지난 3월 15일 청년 실업 문제가 재난 수준이라며 특단의 청년 일자리 대책을 발표한 지 100일째 되는 날입니다.

당시 정부는 청년 실업은 산업과 교육,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심화되고 있고 20대 후반 인구 증가가 집중된 2018년 더 심각해질 것이라며 다양한 정책을 내놨습니다.

그렇다면, 청와대 일자리 상황판에 있는 2018년 5월 청년 실업률 10.5%가 아닌 현장의 청년들은 취업 한파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정책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요? 미디어SR이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보았습니다. [편집자 주]

지방의 한 사립대학교 도서관.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이다.사진. 배선영 기자

부산의 한 국립대 졸업 예정자 이혜진 씨는 요즘 고민이 많다. 신입생 때까지만 하더라도 졸업하고 나면 공사나 정부부처에 취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취업이 어렵다는 문과도 아니고 이공계 계열인데다 매학기 장학금을 받을 정도로 학점 관리도 잘 해둬서 큰 걱정은 안하고 있었다.

그런데 막상 취업 시즌이 되니 어떤 회사에서 무슨 일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가 턱없이 적어 막막할 뿐이다. 취업 설명회나 컨설팅의 기회가 수도권 소재 대학에 비해 적고, 설명회 참석을 위해 서울까지 가는 것도 교통비나 숙박비 등의 비용이 들어 부담스럽다.

잘 모르는 사람들은 지역에도 탄탄한 중소기업이 있으니 지원을 해보라고 하지만, 제조업 기반 도시이다 보니 대학 졸업생이 할 수 있는 직종을 가진 중소기업이 거의 없다. 청년을 채용한다는 중소기업이 있다고 해도 연봉이나 복리후생 등의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않은데다 면접을 가보면 '너 정도 대학을 나왔으면 합격'이라는 식의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돼 정말 이런 곳을 가도 되는지 불안하기만 하다. 결국 이 씨는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인가 고민을 하고 있다.

이 씨 외의 다수의 지방대 취업준비생들은 대기업이나 공기업에 지원을 하자니 서류 지원에서 떨어지는 등, 수도권 소재 대학생들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 같아 지역 중소기업으로도 눈을 돌려보지만 기업에 대한 정보가 턱없이 부족한데다 취업 이후에 어떤 업무를 하게 되는지, 대학까지 나온 자신이 할만한 업무인지 의문스럽다고 털어놓는다.

부산의 경우 지방 대도시에 속하지만 제조업 기반 중소기업이 대부분인터라 청년이 취업할 수 있는 풀이 적다.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이 발촉한 부산청년사업단의 정득헌 사업단장은 "부산 지역 1000여개 중소기업에 컨택을 했는데 10개 안팎의 기업이 청년 취업이 관심을 표했다"라고 전했다. 이들 기업들은 그나마 청년 취업에 관심이 많은 편이지만, 10개 안팎 기업에서 채용할 수 있는 청년의 수는 극히 제한적이다.

정 사업단장은 "성장 가능성이 있고 또 인재에 대한 관심이 많은 기업에서는 청년 채용에도 관심이 많았다. 그렇지만 제조업 분야나 전공 능력이 요구되지 않는 직무를 주로 수행하는 기업에서는 청년 채용보다는 지인이나 가족 인맥을 통해 채용을 하는 식이 빈번했다"라고 전했다.

부산의 청년실업률은 전국과 대비해서도 높은 편이다.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의 2017년 12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분기별 부산의 청년 실업률은 11.7%(1분기), 12.3%(2분기), 12.0%(3분기), 10.2%(4분기)로 나타났다. 전국의 같은 기간 실업률은 9.0%~10.8% 수준이다. 부산의 청년 실업률이 높은 요인과 관련해서,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의 연구 관계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있지만 전반적인 경기 침체에 제조업이 영향을 받다보니 이런 수치가 나오는 것 같다"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정부의 정책 중 지방의 취업준비생을 위한 정책이 다양하게 있지만, 대다수 정책은 단기적인 미봉책이 불과하다고도 전했다. 관계자는 "부산 지역의 청년 취업은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이긴 하다. 기본적으로는 경제 활성화가 돼야 취업률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다양한 지원사업들이 있지만 단기간 취업 유발 효과를 기대해볼 수는 있겠으나 예산 투입이 끝나고 나서도 그 효과가 이어질지는 의문스럽다"라고 전했다.

문제는 이런 정책 마저도 지역의 기업들이나 학생들이 잘 알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미디어SR이 청년취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방의 취업 준비생들은 정부가 지방 취업준비생들을 위해 신경 쓰는 정책이 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다수가 "잘 모르겠다"라거나 "없다"라고 답했다. 반면, 서울 지역 취업준비생들은 "취업 지원 교육에 참가했다"라거나 "취업성공패키지" 등 정부의 정책을 말하는 비율이 훨씬 높았다.

부산 소재 대학교 졸업 예정자인 A씨는 "학생들이 정부의 정책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의 취업준비생들은 일단 자신이 졸업 이후 어떤 직무를 수행해야 할지 진로 설정도 잘 못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상담과 정보가 미비한터라 정부에서 펼치는 정책이 와닿지 않는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부산 소재 기업의 인사 담당자들을 만나 청년 취업에 대한 관심도를 확인해본 정득헌 사업단장은 "부산 지역 대다수의 중소 기업들은 정부에서 펼치는 청년 취업과 관련된 정책에 큰 관심은 없어 보였다. 정부가 청년들을 중소기업 쪽으로 많이 유도하고 있는데, 그 이전에 지역 소재 중소기업의 피부에 와닿는 지원을 많이 해주고 홍보도 더 적극적으로 해야 할 것 같다. 또 대부분이 제조업 아니면 3D 업종인터라 근무 여건 면에서도 개선이 많이 돼야 부산 내의 청년 실업률이 개선될 수 있을 것 같다. 부산 지역 대학생들이 부산 밖의 대기업이나 공기업으로 취업을 희망하는 이유가 부산 지역에는 그만큼 양질의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전했다.

[청년 일자리 대책 D+100일 ①] 180도 달라진 文정부 청년실업정책... 나에게 맞는 정책은?
[청년 일자리 대책 D+100일 ②] 청년은 "연봉∙복지∙워라밸", 중기는 "경험∙경력"
[청년 일자리 대책 D+100일 ③] 지방 취업준비생들 "정보도 기회도 턱없이 부족하다"
[청년 일자리 대책 D+100일 ④] 정부 청년 일자리 정책, 청년과 기업 모두 '만족'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