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 픽사베이

6·13 지방선거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선거 유세에서는 '물가'가 이슈다. 정부는 물가가 안정세를 보인다고 주장하는 반면, 야당에서는 물가가 50% 가까이 치솟고, 이는 최저임금 인상의 여파라며 공격을 서슴지 않고 있다. 물가 상승에 대한 국민의 체감도 또한 각기 달라 혼란스럽기만 하다.

◆ 물가, 안정세인가? 비상인가?

먼저 전체 소비자물가는 8개월째 1%대를 기록하면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맞다. 소비자물가지수는 5월 기준으로 전년 대비 1.5% 올랐다. 4월의 증가율은 1.6%, 3월은 1.3%, 2월은 1.4%로 계속해서 최근 1%대를 유지하고 있다. 오히려 전기, 수도, 가스는 전체적으로 3.3% 감소하는 등 공공재 물가는 하락한 모습을 보인다.

주로 물가가 오른 것은 농축수산물(+2.7%)인데 이 또한 개별 품목마다 천차만별이다. 감자는 지난해 5월에 비해 59%가 오른 반면, 달걀은 39% 하락, 파는 22% 정도가 떨어졌다. 같은 농축수산물이어도 품목별로 물가 상승률이 제각각이니 장바구니 물가에 영향을 받는 서민들의 체감 온도는 그떄 그때 다를 수밖에 없다.

◆ 외식 물가는 상승... 최저임금 인상이 주범?

그러나 진짜 문제는 식자재값 상승에 최저임금 상승 여파까지 이중고를 치러야 하는 자영업자들이다. 7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www.price.go.kr)에 따르면 냉면 가격은 한 그릇 평균 8769원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10.1%(807원) 인상, 삼겹살 가격은 200g당 1만6489원으로 지난해보다 5.6%(868원) 상승했다. 서울 지역에서 서민 음식 메뉴 8개(냉면·삼겹살·김치찌개 백반·칼국수·김밥·비빔밥·삼계탕·자장면) 가운데 가격이 내린 것은 하나도 없었다.

이에 야권에서는 물가 상승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도미노 현상이 아니냐는 의견을 내고 있다. 신세돈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이번 외식 물가에 최저임금 상승 여파가 적용되기에는 너무 이르다"며 "이번 물가 상승은 인건비와는 상관이 없는 문제"라고 못 박았다. 다만,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여파는 분명히 있을 것이고, 이는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최저임금 상승에 따라 전체적인 물가는 점점 오를 수밖에 없는데, 정부가 식료품 물가를 잡지 못하면 이는 자영업자는 물론 서민을 죽이는 꼴"이라며 "미시적으로 접근, 도·소매 현장에서의 가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비축물량을 푼다던지, 농수산물 수입을 확대하는 등의 즉각적인 대처가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