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삶의 균형을 뜻하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의 준말)이 화두인 2018년입니다. 올해 들어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주당 근무 시간이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되었습니다. 점점 더 많은 기업에서 '삶의 질 향상' 즉 워라밸에 대한 직원들의 요구를 무시할 수 없게 돼버렸죠.

미디어SR이 많은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을 취재하면서 느낀 것은 기업이 무엇보다 가장 귀 기울여 경청하고 섬세하게 신경써야 할 부분이 곧 조직 내 직원들에 대한 책임이라는 부분입니다. 조직 내 직원들의 삶이 행복하지 않으면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이에 미디어SR은 우리 사회의 워라밸을 점검해 보았습니다.

이제 막 사회에 발을 뗀 사회 초년생들과 기성 세대들 간의 워라밸을 바라보는 인식 차이를 점검해보았고, 그 사이 낀 세대인 중간관리자급들의 워라밸에 대한 인식도 더듬어 보았습니다.

조직 내 워라밸 문화가 견고하게 자리잡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조직 속 현실적인 목소리들도 실었습니다.

또 북미 지역과 유럽 등 선진국의 워라밸 문화에 대해서도 현지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어보았습니다.

사회적 책임 사회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전문 경제신문, 미디어SR은 조직 바깥 뿐 아니라 조직 내에서 지켜져야할 가치와 책임에 관해서 꾸준히 독자들에게 전하도록 하겠습니다. [편집자 주]

편집: 권민수 기자

금전적인 보상과 성장이 중심이 되었던 과거와 달리 '개인의 삶'이 중요해지면서 워라밸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일을 중요시하는 기성세대와 개인의 삶을 중요시하는 청년층이 함께 일하게 되면서, 이들이 서로에게 어떤 시각을 갖고 있고 워라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들어봤다. 

청년층 "기성세대는 워라밸을 부정적으로 본다" vs 기성세대 "워라밸은 좋다. 하지만 일은 제대로 해야"

미디어 SR 설문 조사 결과, 청년층의 대부분이 "기성세대는 워라밸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고 답했다. "워라밸을 노력하지 않는 것과 동일시한다", "비교적 잘 모르는 것 같다", "사치라고 생각하는 듯",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 같지는 않다", "배 부른 소리라고 생각할 것 같다" 등의 응답이 다수였다. 

일부 청년층은 "긍정적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는 것 같다", "조금씩 중요히 여기는 듯하다"며 사회가 바뀌면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청년층의 생각과는 달리 기성세대의 대부분이 "조직이 조직원의 워라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맞다"고 답했다. 그러나 워라밸을 요구하는 후배에 대해서는 보다 엄격한 대답을 내놨다. 기성세대 다수가 후배들이 워라밸을 요구하는 것은 정당하다고 생각하면서도, 그에 합당한 업무 자세와 책임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나 그 전에 자신이 맡은 일을 제대로 했는지는 생각해봐야 할 듯", "당연한 면이지만 직장을 선택하고 급여를 받는 입장에서 때에 따라 우선순위 조정을 필요하다 생각함", "(워라밸) 오케이. 다만 일할 시간 제대로 해야", "개인의 삶이 중요하니 일과 합리적인 조화를 요구하는 후배를 이해함. 단 근무시간은 개인만이 아닌 조직을 근본적으로 중심에 두는 근무태도는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 등의 의견이 나왔다.

반면 일부 기성세대는 "너 말고도 취업하고픈 후배 많다", "글쎄...아직은 낯설다. 싫음", "그만큼 회사에서 필요한 존재인가..." 등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았다. 

청년층 "직장 선택에서 중요한 것은 워라밸과 돈" vs 기성세대 "돈과 회사의 비전이 중요"

청년층은 직장을 선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워라밸'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 이유로 "아무리 내가 원했던 좋은 직장이어도 퇴근 후의 삶이 보장되지 않으면 이직할 거 같다.", "내 삶이 보장돼야 일도 잘할 수 있기 때문", "돈 버는 기계가 아니니깐", "돈을 많이 벌고 돈 쓸 시간도 없다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등이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돈이었다. 돈을 꼽은 청년들은 "돈이 많아야 잘 사니까", "돈이 있어야 여가를 즐긴다"라며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살기 위해 돈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성세대는 현재 직장을 선택한 이유로 '돈'을 가장 많이 뽑았다. 다음으로 많은 것은 '회사의 비전', '경력개발', '기타', '워라밸' 순이었다. 청년층과 달리 워라밸 때문에 직장을 선택한 사람은 소수였다. 

돈 때문에 직장을 선택했다고 응답한 기성세대들의 대부분이 부양에 대한 의무를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식 교육, 생활자금, 노후자금을 해결해야 함", "가족 구성원들의 사회 활동에 필요한 돈을 충당하기 위해", "가장의 의무 수행" 등이 있었다. 

기성세대의 절반이 회사의 비전과 경력개발을 보고 현재 직장을 선택했다고 응답해 회사와 자신의 성장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프로가 되기 위해서", "회사와 나의 동반성장", "회사의 미래는 곧 자신의 미래이므로" 등의 의견을 보였다. 

청년층과 기성세대 모두 워라밸을 사회의 새로운 흐름으로 받아들이면서, 워라밸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앞으로 한국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치 중 하나는 '워라밸'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청년층은 기성세대가 워라밸을 부정적으로 생각한다고 짐작하고 있어 두 세대 간의 간극이 존재한다고 분석된다. 이에 한국 사회가 워라밸을 향해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두 세대가 소통을 더욱 활발히 할 필요가 있다. 

27세의 한 취준생은 "워라밸 문화가 조직에서 자리잡기 위해서는 조직 내 소통이 필요하다"며 "업종, 조직 특성에 따라 워라밸이 일의 효율성을 가져올 수도,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후자라면, 조직 임원이나 HR담당자들이 조직구성원들이 납득할 수 있게 워라밸이 어려운 타당한 이유를 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후에 직원들이 요구하거나 기대하는 워라밸 수준을 듣고 개선 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기성세대도 회사와 선배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자신의 직급을 이사라고 밝힌 한 50대 남성은 "휴식과 일의 균형이 중요한데, 직장 일도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강제하고 격려하고 고무해야 한다. 그 전략과 방법까지도 회사와 상사가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2018 워라밸 현장점검①] 청년층과 기성세대가 바라보는 워라밸, 어떻게 다를까?
[2018 워라밸 현장점검②] 중간 관리자, 워라밸을 바라보는 이중적 시선
[2018 워라밸 현장점검③] 하루에 10시간 넘게 일하는데... 워라밸은 '남 얘기'인 특례업종 종사자
[2018 워라밸 현장점검④] 정부와 개인이 워라밸을 바라보는 간극
[2018 워라밸 현장점검⑤] 세계 속 워라밸 천국은 어딜까? 북미 vs 유럽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