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 매각 추진.. .매각가 5000억원 거론
웨이브·원스토어 등 비상장 자회사 실적 부진 지속
내년까지 '순자산 75조' 목표...업계 "달성 어려워"

SK스퀘어. /사진=SK스퀘어
SK스퀘어. /사진=SK스퀘어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전자상거래업체 11번가의 2대 주주인 재무적 투자자(FI)들이 11번가 강제매각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번 매각이 성사될 경우 최대주주인 SK스퀘어가 어떤 영향을 입게 될지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11번가 FI의 지분이 매각될 경우 SK스퀘어의 손실이 불가피 할 뿐 아니라 SK스퀘어가 목표로 했던 내년 '순자산가치(NAV) 75조원' 달성 역시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SK스퀘어는 최근 공시를 통해 11번가 매각과 관련해 "11번가의 FI가 동반매도요구권으로 추진 중인 사항"이라며 "매각 금액과 조건 등은 현재 정해진 바가 없다"며 말했다.

11번가 매각가, 장부가 절반에도 못미쳐...수천억원 손실 가능성도

최근 SK스퀘어의 공시는 최근 11번가의 FI인 나일홀딩스 컨소시엄(18.18%)이 씨티글로벌마켓증권·삼정KPMG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면서, 희망 매각가를 5000억~6000억원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 SK스퀘어는 11번가의 80.3%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다.

이같은 매각가격은 SK스퀘어가 지난 2018년 투자할 당시 11번가의 기업가치(약 3조원)와 지분 장부가인 1조495억원에 비하면 한참 낮은 수준이다.

현재 11번가 매각에 주도적으로 나서고 있는 나일홀딩스 컨소시엄은 국민연금과 새마을금고, 사모펀드 운용사인 H&Q 코리아으로 구성된 협의체다.   

앞서 SK스퀘어는 지난 2018년 나일홀딩스로부터 11번가의 5년 내 기업 공개(IPO) 조건을 내걸고 5000억원을 투자 받았다. IPO 실패 시 원금에 연이율 이자 3.5%를 붙인 약 5500억원에 FI 지분을 되 사오는 콜옵션 조항도 넣었으며, SK스퀘어가 콜옵션을 포기할 경우 FI가 SK스퀘어 지분까지 모두 제 3자에 매각 할 수 있는 동반매도청구권도 포함했다.

SK스퀘어는 계약상 데드라인인 지난해 9월까지 11번가의 상장을 추진해왔으나 업황 악화에 따라 실패했다. 지난해에는 싱가포르 이커머스업체 큐텐에 11번가 매각을 진행했으나 이 또한 무산되고, 지난해 11월 말 SK스퀘어가 콜옵션 행사를 포기하면서 계약 내용에 따라 나일홀딩스가 11번가 매각의 키를 갖게 됐다.

현재 11번가의 전략적 제휴 관계인 미국의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과 국내 이커머스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알리바바그룹 등이 인수 후보 업체로 거론된다. 큐텐 역시 후보군이다.

만약 11번가가 FI가 제시한 매각가에 처분된다면 컨소시엄은 투자원금(5000억원)을 회수하는 셈이다. 반면 투자자가 자금을 먼저 회수하는 워터폴 조항도 있어, FI와 달리 SK스퀘어는 돈을 한 푼도 받지 못하거나 수천억원의 평가 손실을 반영해야 한다.

이와 관련, SK스퀘어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FI에 협조해 매각 절차대로 추진 하겠다"고 말했다.

11번가 이어 자회사 IPO실패·실적 악화까지..2025년 순자산 75조 가능할까

이번 11번가 재매각에 따른 손실로 SK스퀘어가 지난 2021년 SK텔레콤과 인적분할하면서 제시했던 ‘2025년 순자산가치 75조 원’이란 목표와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9일 기준 SK스퀘어의 순자산가치는 27조9000억원이다. 순현금(약 5600억원)을 제외한 보유 지분 가치는 SK하이닉스, 크래프톤 등 상장사가 20조4400억원, 11번가, 웨이브 등 비상장사는 6조9500억원에 달한다. 내년을 목표로 세운 순자산 75조와는 약 3배 가까이 차이나는 셈이다.

SK스퀘어는 애초에 자회사들의 상장과 지분 매각 등을 통해 자금을 확보해 반도체, 정보통신기술(ICT) 등 분야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을 정했으나 이번 11번가부터 차질이 발생했다.

특히 중장기적으로 비상장 자회사 웨이브, 원스토어, 티맵모빌리티에서 상장을 추진하려 했으나, 실적 부진과 함께 경기 침체 등으로 IPO를 보류하거나 합병 등 다른 방향으로 길을 모색 중이다.

우선 국내 OTT 자회사인 콘텐츠웨이브에서는 지난달 티빙과 합병을 선언하며 토종 1위 OTT업체로 거듭나길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웨이브와 티빙 모두 근 2년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웨이브의 영업손실 규모는 2021년 558억원, 2022년 1217억원이다. 지난해 역시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했다. 티빙 또한 영업손실 규모가 2021년 762억원이었고, 지난해 1191억원이었다. 이에 시장에서는 국내OTT 점유율 1위인 넷플릭스와 경쟁과 적자기업 간 합병으로 시너지 내기가 어렵다는 우려도 나온다.

또한 투자금 상환 문제도 남아 있다. 웨이브는 지난 2019년 미래에셋벤처투자와 SKS프라이빗에쿼티로부터 투자금 2000억원을 유치하면서 5년내 IPO를 약속했다. 하지만 상장 추진 기한을 넘기고, 합병을 추진하면서 올해 11월에 투자 원금에 연복리 3.8%를 더한 약 2410억원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토종 앱마켓 자회사인 원스토어는 지난달 1260억 규모 프리 IPO(상장 전 지분투자)을 유치하면서 IPO 기한 연장에 성공했다. 하지만 지난 2016년 출범 이후 7년간 단 한 번도 흑자를 낸 적이 없어, 여전히 성장성에 대해선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025년 IPO를 준비 중인 티맵모빌리티도 적자 폭이 늘고 있다. 2020년 18억원의 영업적자(연결기준)를 기록한 이후 2021년 678억원, 2022년 978억원으로 적자 폭은 매년 증가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SK스퀘어가 제시한 순자산총액 75조 목표는 열심히 하겠다는 상징적인 의미이지 현실적으로는 달성이 어려운 수치"라며 "상장사의 실적개선과 비상장사들의 IPO 추진 등 일반적인 기업가치 높이는 시도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반면 SK스퀘어는 포트폴리오 내 기업들의 실적을 개선하고 신규 투자 유치를 통해 2025년 순자산총액 75조원을 달성하겠다는 입장이다.

SK스퀘어 관계자는 "SK하이닉스와 티맵모빌리티, 원스토어 등 기존 보유자산의 실적개선과 IPO를 통해 기업가치를 키우고 신규투자 유치에도 힘쓰면서 순자산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