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리기업과 정부, 비영리기구가 함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려면 무엇보다 ‘비영리조직 종사자들은 스스로를 기업의 하청업체로 느끼는 경향‘을 극복하기위해 소통해야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기업의 성공적인 혁신적인 기법을 비영리조직에 적용하는 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난 4월 11일 서울시 사회복지협의회 사회공헌본부 출범식 후 열린 ‘사회공헌의 성공적 소통,+’란 주제의 세미나에서 고려대학교 문형구 교수는 ‘소통으로 상생하는 사회공헌’이란 기조강연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기업과 비영리조직간의 상생하는 사회공헌
문 교수는 기업과 비영리기구가 파트너십을 맺고, 참여할 수 있는 장을 형성하고, 서로 소통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사항들을 지적했다. 문 교수는 “금융위기로 촉발된 자본주의의 위기를 맞아 사회공헌과 자본주의 4.0 시대가 도래했다”고 말했다. 기업에 대한 신뢰가 지속적으로 약해지고 적대감이 커지면서 시민사회, 기업, 정부의 효율적인 협력관계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기업과 비영리조직 간 협력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서로의 불신과 오해, 때때로 돌출하는 적대감을 극복해야 한다. 영리와 비영리 사이에 놓인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고 합의해 사회공헌활동의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문 교수는 영리, 비영리 집단 간 편견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몇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서로 자주 만나야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두 섹터가 동일한 지위를 유지하고공통의 목표를 설정,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것은 ‘권력의 차이가 있다’고 느끼는 불신과 오해 때문이다. 문 교수는 “비영리조직 종사자들은 스스로를 기업의 하청업체로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집단정체감을 인정하고 상호작용해야 한다.


둘째,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관(官)은 지역의 문제들을 찾아내고, 시민단체는 사회적 지역적 이슈를 공론화해 기업과 함께 이슈를 해결한다. 기업과 정부는 시민단체에 대해 사명감만을 강요하거나 불투명성을 의심하기보다 능력을 높이는 데 투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민단체의 구성원이 기업에서 3년 동안 일하면서 기업 체계와 마인드를 배우고 다시 시민단체로 돌아와 그 역량을 활용할 수 있다.

문 교수는 “비영리와 영리의 협력관계 형성을 위해선 개인적인 친분을 높여 이해의 토대를 마련하고, 기업의 성공적인 혁신적인 기법을 비영리조직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