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균 연구원] 국회 CSR정책연구포럼(대표 홍일표 의원)과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이사장 김영호)은 지난 14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사회책임과 공유가치 창출의 혼동, 기업은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란 주제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VS 공유가치창출(CSV)’ 대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사회책임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 26000 제정에 깊숙이 관여했던 비엔나대학 마틴 노이라이터(Martin Neureiter) 교수가 ‘CSV는 CSR의 미래인가’를, 서울대 국제대학원 문휘창 교수가 ‘왜CSV인가’를 각각 주제발표했다.

토론에는 유엔글로벌콤팩트한국협회 임홍재 사무총장, 자본시장연구원 노희진 박사, EY한영회계법인 정영일 상무, CJ의 권중현 상무가 패널로 참석했으며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양춘승 상임이사가 좌장을 맡았다.

패널들은 ‘CSR을 비용으로 볼 일인가?’, ‘CSV가 WHAT에 대한 이야기면 CSV는 HOW에 대한 이야기인가?’, CSV에 앞서 CSR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등 이야기를 주고받았으며 참석자를 상대로 한 질의응답으로 마무리됐다. 주요내용을 요약했다.

자본시장연구원 노희진 박사
과거 CSR 개념이 역사적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면 시대적 상황에 따라, 기업이 갖고있는 사회적 책무에 따라 달라진다. 이것을 ISO 26000으로 정해 국제표준을 만든 것이다. 기업들이 CSR을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하다고 본다. CSR은 단순히 도움을 받는 대상에게는 가치가 있지만 기업 자체에는 비용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CSV는 기업이 사회적 가치를 생산해서 사회와 함께 고민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기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논의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적 가치가 있는 분야 예를 들어 복지, 사회, 안전 등 분야의 예산 비중이 가파르게 커지고있다. 고령화 사회로 들어가고 출산율이 낮아지다보니 국가가 이런 분야에 재정을 많이 할당할 수 밖에 없다. 앞으로 이런 추세는 더 심화될 텐데 결국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살기 위해서는 기업이 나서야 한다. 이를 모델로 만든 것이 CSV다. 최근 UN에서 2015년 이후의 글로벌 이슈를 위한 아젠다들을 개발하고 있는데 다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것이다. 이런 이슈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은 동의하지만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야기가 없다. 자본주의가 한계가 온 것이다. 국가는 돈이 필요한데 민간이 들어가서 돈을 쓸 수 있도록 그런 체계가 필요한 것 아닌가. 지속가능성을 위한 논의가 시작됐다.

유엔글로벌컴팩트한국협회 임홍재 사무총장
오늘 이 자리는 CSR, CSV에 대해 이견과 혼동이 있어 마련된 것인데 주제발표자들은 상호보완적이고 필요하다고 말씀해주셨다. 마틴 교수 의견에 상당히 동의한다. UNGC에서 말하는 CSR은 기업이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등 4개 핵심가치를 바탕으로 UN이 마련해준 10대 원칙을 기업의 전략정책관행에 내재화해 운영함으로써 기업이 지속가능성을 만들어내도록 하는 것이다.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 지속가능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주는 것이 CSR이다.

UNGC는 가치와 원칙을 갖고있다. 많은 글로벌 이니셔티브의 경우 원칙이 없다. 단거리 경주가 아니라 마라톤 관점에서 운영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사람을 중심으로 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권장하는 10대 원칙을 이행하게 되면 기업이 변한다. 기업이 변하면서 사회가 변한다. 여기에서 하나 추가하자면 UNGC는 기업이 사회를 위해 무엇을 해주는 것보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CSV에 관한 마이클 포터나 마크 크라머의 글을 보면 CSR을 기부나 자선, 자원배분적 관점에서 보고 있다. 이보다는 가치를 창출해 기업과 사회에 이익이 되는 것을 이야기해야한다. 사회와 환경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이런 배려가 없다면 사회로부터 신뢰와 인정을 받기 어렵다. 이 동기만 갖고 CSV를 추진할 경우 이해당사자 또는 지역사회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있을까? 원칙이 있는 CSR, CSV 추진이 중요하다.

CJ 권중현 상무
마틴 교수가 “CSV은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라고 말씀하셨는데 그 전에도 비즈니스와 사회 이슈를 연결하는 것들이 있었다. 유한양행을 말씀하신 것처럼 정말 우리나라 기업은 해외 학자들이 봤을 때 비즈니스 애국심이라고 이야기할 정도로 기업과 사회의 관계가 밀접히 연계돼있다. CJ도 최우선 가치로 여겼던 것이 사업보국이다. 과거 CJ가 설탕을 만든 것처럼 사회이슈에 따라 사업이 진화하고 있다. CSR, CSV 두 개념이 혼동될 수 있다고 말씀하시지만 보완적이라고 본다. 사례를 보면 CSR을 잘하는 사람이 더 나아가서 사회공헌 CSV를 잘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자기가 잘할 수 있는 영역에서 사회의 가장 약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법을 취하기 때문이다.

문화재단을 만든 최초의 회사가 CJ다. 가장 많이 했던 것이 창작자 육성이다. 슈퍼스타K처럼 CSV 모델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강국으로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였다. 엔터테인먼트 뿐 아니라 식품 쪽에서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각 지역의 명품 농산물을 CJ오쇼핑에서 소개하고 키웠다. 지금 그게 CSV 모델이 됐다. 계절밥상이다. 물론 NGO와 계속 이야기하면서 이런 모델이 나오게 됐다. 사회적 니즈,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에서 모든 기회가 나온다.

EY한영회계법인 정영일 상무
2000년대 초반 윤리경영 이슈가 있었고 조금 지나 지속가능 경영이 나왔다. 지금 토론하고 있는 CSR, CSV 용어의 정의는 상당부분 사회적 비용을 줄여주는데 있다고 본다. 학자마다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마이클 포터 역시 2002년 논문에서 CSR에 대해 자선활동(philanthropy)라는 용어를 썼다. 그러면서 2006년 CSV 용어가 나왔다. 용어 자체에 정의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헷갈리는 것도 분명히 있다고 본다. 기본적으로 ISO 26000에 정의돼있는 것을 사용한다. 이미 유수의 전문가들이 해놓은 정의다. 마틴 교수의 CSR 이야기가 기본이라고 생각한다. 기업의 임팩트에 대한 처리(dealing with impact)다.

CSR을 어떻게 해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과연 우리 회사의 임팩트 파워가 어디에 있는지 정의하는게 먼저라고 생각한다. 여기 앉아계신 많은 분들이 ISO 26000 제정에 참여한 듯 한데 많은 전문가가 참여했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있다고 본다.

네슬레의 CSR 전략을 보면 기반이 되는 것은 법규 준수다. 이것을 가장 기본적인 CSR로 생각하고 있다. 이후 자사 제품과 서비스, 프로세스 측면에서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것이 다음 단계다. 마지막으로 CSV다. CSV 논의 자체는 좋은데 CSR에 대한 노력이 없는 CSV는 고객에 대한 기만이 될 수 있다. CSR이 훨씬 넓은 의미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다.

법규 준수, 관리, 전략을 넘어서면 가장 마지막으로 통합된 전략 단계에서 CSV가 가능하다. 네슬레가 그런 수준이다. 그런데 앞 단계에 대한 논의가 없다. CSV가 의미를 가지려면 수준높은 CSR 체계를 갖춘 후에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