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편집. 미디어SR
사진 편집. 미디어SR

[미디어SR 정혜원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은 오는 15일부터 중국의 화웨이에 대한 반도체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미국 정부의 화웨이에 대한 추가 제재는 화웨이와 거래할 수 있는 모든 반도체 회사로 제재 범위가 확대되면서 국내 반도체 기업에도 적잖은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제재로 인한 반사이익이 생길 수 있다면서 지나치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 정부의 화웨이에 대한 추가 제재가 오는 15일부터 발효된다. 화웨이가 '구매자, 중간 수탁자, 최종 수탁자, 최종 소비자'인 모든 거래에 대한 승인 절차를 필수라고 못박으면서 미국의 소프트웨어와 기술·장비를 사용했다면 제3국 반도체 업체라도 화웨이에 납품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

그동안 화웨이 제재는 비메모리(시스템) 위주로 진행됐으나 이번 제재를 통해서는 사실상 화웨이와의 거래가 원천 차단된 수준이다. 반도체는 원천 기술을 가진 미국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제공.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제재로 인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가장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 된다. 두 회사는 화웨이에 주력 제품인 메모리반도체(낸드플래시와 D램)를 납품한다. 삼성전자의 매출에서 화웨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3.2%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지난해 기준 약 7조3700억원에 해당하는 거래 규모다.

SK하이닉스는 매출에서 화웨이와의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11.4%에 달한다. 특히 SK하이닉스는 화웨이 매출 비중이 삼성전자에 비해 높기 때문에 당장 4분기 실적에 직격탄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관계자는 미디어SR에 “다양한 대안을 검토 중이다”라고 밝혔다.

현재로서는 미국의 허가를 받으면 예외적으로 화웨이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지만 현재 미국 정부의 화웨이에 대한 강한 제재 의지를 보면 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거래처를 확대하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지적한다. 미국의 제재로 화웨이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화웨이와 중국 스마트폰시장에 경쟁하는 샤오미와 비보, 오포 등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스마트폰 시장은 일반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교체 수요 등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화웨이가 생산을 중단한다고 해서 수요가 급감하진 않을 것”이라면서 “다른 스마트폰 브랜드로 수요가 대체되더라도 다른 거래처와의 물량 대응 등의 방안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제공. SK하이닉스
제공. SK하이닉스

실제로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어낼리틱스(SA)는 내년 오포와 비보의 점유율이 작년 각각 7∼8%대에서 10% 안팎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SA는 "중국 시장에서는 자국 브랜드가 화웨이의 중저가와 하이엔드 모델을, 애플과 삼성전자가 화웨이 플래그십 모델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해외에서는 샤오미, 오포, 비보, 애플,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모두 수혜를 보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화웨이 반도체 수출규제 확대와 전망' 보고서에서 “화웨이를 상대로 한 우리 기업의 반도체 관련 수출에 단기적 타격이 예상”된다고 지적하면서도 “한국 반도체 산업으로서는 비교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기술격차를 유지하는 게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중국이 이번 제재를 경험하면서 오히려 반도체 국산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