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 산하 100년 행복연구센터 '100년 행복, 금퇴족으로 사는 법' 보고서 발간

사진. 이미지투데이
사진. 이미지투데이

[미디어SR 김사민 기자] 하나금융그룹이 은퇴 후에도 많은 금융자산을 보유한 이른바 '금(金)퇴족'이 되기 위해서는 40대 초반까지 기반을 마련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나금융그룹 산하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100년 행복, 금퇴족으로 사는 법'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하나금융이 정의하는 '금퇴족'이란, 은퇴 후 현재의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금융자산을 꾸준히 마련해가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은퇴(隱退)는 물론 직장 등 사회 활동을 떠나거나 접는 것을 의미하지만, 은퇴자 등 나이든 분들을 '실버(銀-은)세대'라고 지칭하는 점에 착안, '금퇴족'이라는 그럴듯한 신조어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

100년 행복연구센터가 하나은행 AI빅데이터센터와 함께 30~55세 남성을 대상으로 금퇴족의 실제 사례를 찾은 결과, 금퇴족이 가진 평균 금융자산은 1억20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체 조사대상(9000만원)보다 35% 많은 금액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30~34세는 평균 6000만원, 35~39세 1억1000만원, 40~44세 2억원, 45~49세 3억2000만원, 50~55세 3억9000만원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금융자산 규모가 커짐을 알 수 있다. 
 
특히 금퇴족의 차이는 40대부터 두드러진다. 40대 초반 금퇴족의 금융자산은 전체와 비교해 1억원 이상 많기 때문이다. 30대 후반 금퇴족과 전체 조사대상의 차이가 5000만원인 것에 비해 두 배 이상 차이가 벌어진다.

금퇴족의 차이는 금융상품 구성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금퇴족은 전 연령대에서 펀드·연금·신탁 규모가 전체 보유 금융자산 중 60%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전체 평균보다 7~1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한편 금퇴족의 주식투자 비중은 40~44세에, 펀드투자 규모는 45~49세에 절정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44세 금퇴족은 일반 펀드와 퇴직연금, 연금저축 등을 통해 금융자산의 15%를 주식에 배분했다. 펀드 투자 규모는 평균 5900만원으로, 40대의 활발한 펀드 투자가 50대(5800만원)까지 이어졌다. 

부동산을 통한 주택연금을 보유하고 있다면 금퇴족의 범위는 더 확대된다. 60세부터 부동산에서 월 65만원을 확보하면 50~55세 금퇴족의 보유 금융자산은 3억9000만원에서 2억2000만원으로 하락하게 된다.

부동산 현금흐름은 금퇴족의 문턱을 낮추는데, 부동산 현금흐름을 고려하면 40~44세의 주식투자 비중은 15%에서 8%로 하락한다.

또한 현재 소득수준에 따라 금퇴족의 모습도 달라진다. 50~55세의 경우 금퇴족 평균 금융자산은 소득 수준에 따라 1억 5000만원(월 소득 300만원 미만), 3억 1000만원(300만~500만원), 5억1000만원(500만~800만원), 10억 6000만원(800만원 이상)의 큰 격차를 보인다. 

이는 소득이 높아질수록 소비 지출은 증가하지만, 국민연금이 일정 수준 이하에서 머물기 때문에 직접 마련해야 하는 현금 흐름이 커지기 때문이다.

김혜령 100년 행복연구센터 연구위원은 미디어SR에 "펀드나 ETF, 직접 투자 등 금융투자자산이 과거에는 선택이었으나 이제는 필수로 생각해야 하는 저금리 시대가 왔다"면서 "수익률이 낮은 예·적금에만 수동적으로 머무는 것은 일생을 두고 봤을 때 오히려 더 위험한 선택"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