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 기획재정부

[미디어SR 이승균 기자]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일자리 156만개를 제공하는 데 주력키로 했다.

코로나19로 정상 추진되지 못했던 노인일자리, 자활근로사업 등 약 60여만개 일자리는 최대한 비대면·야외작업 등으로 전환하고 추가로 만들 방침이다.

청년층 경력개발에도 도움이 되는 공공분야 비대면 디지털 일자리 10만개, 민간분야 청년 디지털일자리 5만개, 청년 일경험일자리 5만개, 취약계층 일자리 30만개 등 55만개 일자리를 추가로 만든다.

시험연기 등으로 인해 4월까지 1.9만명 채용에 그쳤던 공무원·공공기관 채용절차를 당장 이번 달부터 재개하여 최대한 빠른 시일내 4만8000명을 채용한다.

정부는 14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재주로 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공공부문 중심 고용충격 대응방안을 확정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 사태는 당장의 일자리 상실은 물론 노동·고용시장 전반에 양적·질적으로 큰 충격과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면서 "긴급 고용·일자리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공공부문 156만개 일자리 창출은 문재인 대통령 주재 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마련하기로 결정한 10조원 규모의 고용안정패키지 대책의 후속조치다.

정부는 중단된 정부 일자리 44만5천명분에 대해서는 야외·온라인 등 감염 우려가 적은 활동으로 전환 가능한 경우 즉시 재개하고, 감염 확산 우려가 높은 일자리는 방역상황을 고려해 순차적으로 재개한다.

실직자, 휴·폐업자, 소득감소 특수형태근로종사자·프리랜서 등 코로나19 피해계층에게 직접일자리를 우선 제공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비대면, 디지털 등 추가 직접 일자리 55만개는 공공데이터, 온라인콘텐츠, 방역 등 분야를 중심으로 창출한다.

정부는 일손이 부족한 분야를 중심으로 공익적 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청년층 경력개발에도 도움이 되는 비대면 디지털 일자리를 우선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저소득층, 실직자, 휴업자 등 취약계층은 우선 선별해 생활방역, 소상공인 회복 지원 등 지자체 수요를 반영하여 공공일자리를 제공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이번 회의에 이어 다음주 2차례에 걸친 경제중대본 회의에서 그 전체 모습과 세부내용을 집중 논의후 확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족한 소요재원은 3차 추경안에 반영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