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깨끗하고 안전한 부산항으로. 부산항만공사

# 미세먼지 없는 부산항을 만든다. 부산항만공사의 푸른 부산항 목표다. 이를위해 선박배출가스 감축과 신재생에너지 도입, 항만하역장비 배출량 감소 등을 추진중이다.

# 사장직속 재난안전부를 두고 항만안전에 무게를 실었다. 부산항 내 컨테이너, 위험물, 일반화물 등 작업장내 맞춤형 안전교육과 안전장비 지원, 재난·안전 업무 유공자 포상 등 전사적 안전활동을 강화했다.

친환경과 안전에 방점을 둔 부산항만공사의 활동들이다. 특히 부산항만공사는 친환경부분에서 2022년까지 미세먼지 배출량 ‘0(제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기관장 주도 항만 내 산업재해 예방체제를 구축하고 전사 안전활동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KOSHA-MS)’을 획득하는 등 깨끗하고 안전한 부산항 만들기에 전사적이다.

부산항만공사(이하 BPA)는 2004년 부산항만 개발 및 관리·운영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내 최초의 항만 공기업이다. BPA는 항만 내 화물자동차 휴게소, 물류업체, 물류창고 등 항만배후단지조성 및 관리운영과 항만재개발 사업을 주축으로 부산항을 해운물류의 중심기지로 육성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공사 출범 당시 3조 4천 556억 원이던 자산이 현재 5조 9천억 원으로 늘고 100여명으로 출발한 임직원 수도 현재는 200명을 넘었다. 물동량 기준 세계 6위의 항만에 걸맞는 외형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BPA는 외형적 성장 못지않게 사회가치를 중심으로 한 질적이 변화에 나섰다. 2018년 11월 사장 직속 ‘사회적가치·혁신실’을 신설하고 일자리·사회공헌 등 사회적 가치 관련 업무 전반을 담당하고 있다. 같은 해 12월 BPA는 7개 유관기관과 함께 사회적 가치 비전 선포식을 개최해 사회적 가치 추진체계를 알리고 부산항 내 이해관계자들과 사회적 가치의 지속적 실현을 다짐했다.

BPA의 사회적 가치 목표는 ‘사람이 행복한 상생의 부산항, 국민이 신뢰하는 BPA’이다. BPA는 목표에 따라 공사 내부, 부산항, 지역사회, 항만연관 산업(선박용품, 항만용역업, 선박급유업, 컨테이너 수리업, 선박수리업 등)에서 사회적 가치를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BPA는 사회적 가치구현을 위해 4가지 핵심 전략을 수립했다. △ 일자리 넘치는 깨끗하고 안전한 부산항 구현 △ 더불어 성장하는 항만생태계 구축 △ 시민의 행복과 활력 넘치는 지역가치 창출 △ 사람을 존중하는 윤리적인 BPA 구현이며 일자리, 상생협력, 윤리 등 전략마다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중요 키워드를 담고 있다. 2018년 12월 BPA 사회적 가치 비전 선포식 당시, BPA 남기찬 사장의 "부산항의 관계기관과 협업해 사회적 가치 실천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는 말처럼, BPA는 유관기관과 환경, 안전, 상생협력을 키워드로 지역 내 사회적 가치 구현 활동을 진행 중이다.

○ 미세먼지 없는 부산항을 만든다.

2016년 영국의 과학전문학술지 「네이처」지에 BPA의 안타까운 소식이 실렸다. 홍콩 싱가포르, 상하이 등 주요항만들과 함께 ‘세계 10대 미세먼지 오염항만’으로 선정된 것이다. 이어 정부에서 2022년까지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 30% 감축을 목표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까지 발표하게 되면서 ‘항만미세먼지 감축’은 공사의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됐다.

BPA는 4개분야 24개 실행과제로 구성된 ‘부산항 그린포트 로드맵’을 수립하고 항만 전 분야에서 미세먼지 절감을 위해 노력했다. BPA는 미세먼지 절감을 위해 △ 선박 배출가스 감축 △ 신·재생 에너지도입 △ 항만하역장비 배출량 저감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곧장 행동에 들어갔다.

미세먼지 저감사업 공동협약(왼쪽부터 부산항시설관리센터 강재화 사장, 부산항만공사 남기찬 사장, BNK부산은행 빈대인 은행장,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장보임 사무처장)
사진. 부산항만공사

공사는 우선 선박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주목했다. 부산항에는 연간 컨테이너선 1만 5000여 척, 일반화물선 5000여 척, 원양어선 1100여 척, 수리 선박 1300여 척 등 2만 3000여척의 각종 선박이 드나든다. 특히 부산의 경우 미세먼지의 원인 물질인 황산화물의 73%가 황이 함유된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에서 배출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BPA는 따라서 입항하는 친환경 선박에 대해 항만시설 사용료를 감면하는 ‘환경선박지수(ESI) 사용료 감면제도’를 도입해 친환경 선박의 이용을 독려했다. 또한 항만에 정박한 선박의 전기를 육상에서 공급하는 육상전원공급시설(AMP)를 설치해 항만 내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였다.

신·재생에너지 도입도 추진했다. 항만시설 내 일반형광등을 LED 조명으로 90% 교체하고 2018년 12월에는 수소선박 제조기술을 연구 중인 한국선급(KR)과 기술협력 업무협약을 맺었다.

특히 BPA는 항만하역장비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친환경 장비 교체에 힘썼다. 기존에 경유로 작동하던 선박과 야적장 사이를 오가며 컨테이너를 옮기는 야드 트랙터를 LNG(액화천연가스) 장비로 교체했다. 2019년 기준으로 보유한 736대 야드 트렉터(YT) 중, 절반 가량을 LNG로 교체했다. 이와는 별도로 LNG 연료로 전환이 어려운 노후 YT에는 하역장비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배출가스저감장치(DPF)를 설치를 추진 중이다. 결과는 2017년 대비 항만 내 하역장비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12% 감축으로 나타났다.

○ 일자리로 항만을 살린다.

BPA는 부산지역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산지역 공공기관들과 힘을 모으고 있다. BPA의 일자리 창출 사회가치구현 활동의 핵심은 ‘협력’이다. 한 기관의 단독 사업이 아닌 지자체, 부산지역 공공기관들이 자원 및 역량을 모아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BEF(부산 사회적 경제지원 기금/Busan Embracement Fund for Social Economic Development)이다. BEF는 부산광역시를 포함한 부산항만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예탁결제원 등 8개 부산지역 공공기관들이 다양한 지원방식으로 사회적 경제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기금이다. 이 기금은 5년간 50억 원을 조성하겠다는 목표로 조성됐다.

# 기관협력으로 만드는 일자리 – 부산 사회적경제 지원기금(BEF)

BPA와 협력기관들은 첫해에 7억5천만원 기금을 조성하고 이듬해에는 2억4천만원이 늘어난 10억 4천만 원을 마련했다. 이 기금으로 부산지역 내 사회적 경제기업 규모에 따라 무상재정지원, 무이자 대출과 같은 금융지원부터 크라우드펀딩, 경영 컨설팅, 사회적 경제 분야 국제포럼 개최하는 등 판로개척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회적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 항만 업으로 만드는 시니어 일자리

업을 활용한 시니어 일자리를 만들기도 했다. 부산이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이 8개 광역시 중 가장 높다는 점과 각국에서 여행객들이 드나든다는 특성을 반영해 부산국제여객터미널 내 일본·영어통역 시니어 일자리를 만들었다. 2018년 9월에는 부산광역시 및 BPA, 주택도시보증공사 등 7개 부산지역 공공기관들과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민·관 협업으로 직무 컨설팅 및 직무 개발 등 시니어 일자리 창출에 적극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경제지원 기금 및 시니어 일자리사업으로 2019년 총 282개 일자리를 만들었다.

○ 안전한 부산항을 만든다

항만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다. 항만 내 근로자 사망 및 사상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는 등 안전 이슈가 제기된 것이다. BPA는 2019년 5월 사장직속 재난안전부를 두고 항만안전 실현에 본격 나섰다. 우선 과거 운영, 건설, 재개발 등 기능별로 관리했던 안전관리시스템을 전사적 통합관리체계로 전환했다. 또한 과거 TF체제로 운영되던 안전부서를 ‘재난안전실’로 명칭을 변경하고 안전분야의 인력과 예산 또한 추가 편성했다.

부산항 내 컨테이너, 위험물, 일반화물 등 작업장 맞춤형 안전교육과 안전장비 지원, 재난·안전 업무 유공자 포상 전사적 안전활동을 실시했다. 최근에는 BPA의 한해 재난·안전활동을 담은 2019년 안전매거진을 발간하며 대외적으로 항만 안전확산에도 노력했다.

화물차 운전자 안전 캠페인 사진. 부산항만공사

항만 영세업체 근로자들을 위한 안전지원도 확대했다. 항만산업 특성상 선박수리업, 컨테이너 검수, 선박 청소, 화물고정 등의 관련 업체들은 대다수 1-4인 소규모 사업체로 근로자들의 근무환경이 열악하다. BPA는 이 점에 착안해 영세업체들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안전교육 및 안전장비를 제공했다. 특히 부두 안에서 컨테이너를 옮기는 야드 트랙터 졸음방지 센서를 개발 및 고소작업 맞춤형 안전장비 6기를 지원하는 등 안전사고 발생률이 높은 특정 업체를 위한 최신안전장비도 지원했다. 지진, 해양선박사고 등 재난 상황을 가정한 자체 합동훈련 또한 2회에서 8회로 늘렸다.

BPA는 2019년 한해 안전·재난 활동을 담은 「안전 부산항 2019」 안전 매거진을 발간했다. 안전 매거진을 BPA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배포해 누구든 항만안전이슈와 개선사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했다.

○ 사람 중심의 부산항을 만든다

BPA는 항만사업 내 근로자와 이해관계자들의 인권을 존중하는 ‘사람중심의 부산항’ 조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2018년 2월, BPA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의해 ‘인권경영 매뉴얼 시범기관’으로 선정됐다. 사업 및 지역별 공공기관에 공유될 인권경영 매뉴얼을 가장 먼저 도입한 기관이 된 것이다.

이후 BPA는 단계별 (1단계 인권경영체계 구축 –> 2단계 인권영향평가 실시 –> 3단계 인권경영 실행 및 공개 –> 4단계 구제절차 제공) 인권경영체계 도입을 위해 노력했다. 같은 해 6월 인권경영 헌장을 마련하고 인권경영 선포식을 가졌다. 이어 조직 내 인권전담부서를 지정하고, 임직원 대상 안전교육 및 인권의식향상을 위한 행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또한 기관 내부 임직원과 외부 인권전문가들로 구성된 인권경영 위원회를 출범해 현 인권경영의 개선과 인권영향평가 결과에 대한 조치사항을 확인했다. 근로자, 자회사, 운용사, 하역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로 협의체를 구성해 근로현장에서 발생하는 인권이슈 및 의견수렴을 위한 채널로 활용했다.

특히, BPA는 인권관련 10개 분야 154개 지표로 구성된 ‘인권영향평가 체크리스트’를 도입했다.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체적으로 항만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권분야별 잠재적 리스크를 파악한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해 내부적으로 공유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BPA는 공공기관 인권경영 확산 기여와 적극적으로 이행했다. 2018년 8월 인권위원장 표창을 수상하고 2019년 12월에는 공기업 제1호 인권경영시스템인증(KMR HRMS)을 받으면서 공공기관 인권경영을 선도하는 기관으로 평가받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