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 김민영 디자인 기자

[미디어SR 김사민 기자] 금융당국이 내년부터 저축은행에도 오픈뱅킹 참여의 길을 열어놓을 방침임에 따라 저축은행 내부에서는 오픈뱅킹이 가져올 득실을 저울질하고 있는 모양새다. 

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위는 은행 위주의 오픈뱅킹 참가 금융사를 내년부터 저축은행, 상호금융, 우체국 등 제2금융권으로 확대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4일 미디어SR에 "금융위 내부적으로 검토가 완료되면 금융결제원 이사회 의결을 거쳐 저축은행중앙회가 특별참가기관으로 확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내년부터 제2금융권 간 오픈뱅킹을 가능하게 하고, 내후년부터는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 간에도 오픈뱅킹 서비스를 열어둘 계획이다.

다만 저축은행중앙회는 오픈뱅킹에 참여하기 위해 특별참가금을 내야 하기 때문에 쉽사리 환영할 수만은 없는 입장이다. 오픈뱅킹은 은행 등 금융결제원 사원기관의 회비로 구축된 금융결제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참가기관이 아닌 저축은행이 오픈API 제공기관 역할을 하려면 따로 참가금을 내야 하는 구조다.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미디어SR에 "금융결제원 의사결정기구인 사원기관 총회에서 저축은행의 특별참가여부를 승인하면 마련된 기준에 따라 참가금을 산출한다"면서 "정액으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고 예상업무량을 산정해 적절한 참가금을 정할 것"이라고 전했으나, 참가금은 대략 8억원가량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오픈뱅킹 도입에 대한 의견이 저축은행 내부에서도 갈리고 있다는 점이다. 참가금을 내고 도입했는데 뚜렷한 성과가 없이 오히려 시중은행 모바일 뱅킹에 저축은행이 종속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미디어SR에 "특정 앱 쏠림 현상으로 개별 회사 금융 상품 어필이 쉽지 않고, 제2금융권 같은 경우 1금융권에 종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오픈뱅킹 사업이 들어가면 전산, 유지 비용 등을 저축은행들에 할당해 중앙회에서 받을 텐데 사실 부담스럽다"면서 "79개의 저축은행이 모바일 뱅킹을 전부 원한다고 확정하기도 어렵다. 지방 저축은행 같은 경우는 모바일뱅킹을 굳이 원치 않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지방 저축은행은 지역 상권에서 적은 자본으로 영업점 한두 개를 운영하면서 금융서비스를 중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동일한 참가금을 내고 오픈뱅킹 서비스에 참여할 유인이 없다는 것이다.

반면, 수도권 및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적극적으로 모바일 영업환경을 확장하고 있기 때문에 오픈뱅킹 참여를 환영하는 입장이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영업권 제약이 있는 저축은행 같은 경우 사용 편의성이나 접근성 측면에서 여건이 더 좋아질 것"이라면서 "저축은행중앙회 전산망을 통해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자체 전산망을 쓰는 타행과 비교해서는 아쉬움이 있다. 오픈뱅킹이 가려웠던 부분을 해소해줄 거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저축은행의 오픈뱅킹 도입을 두고 저축은행중앙회에서도 다각도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 9월 국내 66개 저축은행의 모든 서비스를 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저축은행 통합 모바일 앱 'SB톡톡 플러스'를 출시하며 저축은행의 모바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아직 정부에서 정확하게 지침이 내려온 게 없어서 논하기엔 시기상조"라면서 "내년 상반기 가이드라인이 나온 이후에 논의될 것 같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