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스틸컷

[박준영 크로스컬처 대표] 

소설로 먼저 만들어진 ‘82년생 김지영’은 단군 이래 최대의 불황이라는 출판계에 무려 100만부나 팔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소설은 우리 시대 여성들의 육아, 출산, 재취업, 시댁과의 관계등 모든 문제를 수면 위로 한꺼번에 드러냈다. 고 노회찬의원이 문재인대통령에게 선물했다고 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사실 읽다보면 소설이라기 보다 일종의 ‘한국사회 여성보고서’ 정도의 느낌이 들 정도다.
 
‘모두가 알지만 아무도 몰랐던 82년생 김지영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드는 것은 조금 특별한 의미가 있다. 성차별과 성희롱 뉴스가 날만 새면 나오고 페미니즘에 관한 여러 논란이 백화쟁명처럼 터져나오는 요즘이어서 더욱 그렇다. 이제 ‘젠더 감수성’은 선택이 아니고 필수로 장착해야할 삶의 요소가 됐다. 해서 이 영화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 속에 개봉하였다. 또한 영화는 여성들이 나서서 만들었다. 제작자(봄바람 제작사)도 감독도 작가도 배우도 모두 여성이다.
 
1982년 봄에 태어난 주인공 김지영(정유미)은 자상한 남편 대현(공유)과 딸 하나를 낳고 살아가고있다. 하지만 지영의 가슴은 웬지 허전하고 텅 빈 듯 하다. 매일 베란다에서 저녁놀을 볼 때면 마음이 쿵하고 내려 앉기 일쑤다. 급기야 다른 사람이 되어 말하는 ‘빙의’ 증세를 보이기까지 한다. 남편 대현은 이런 모습을 보고 아내가 상처를 받을까 전전긍긍이다. 주위에 말도 못하고 용기를 내어 지영에게 정신과를 한번 찾아가라고 조심스럽게 말을 건넨다. 영화는 지영의 병이 치유되기까지의 과정을 몰입감있게 보여준다. 중간중간 가족 개인들의 과거사가 덧붙혀지면서 한국여성의 소외와 아픔, 그리고 상처를 마치 다큐드라마처럼 그려낸다.
 
아들만을 생각하는 가부장적 집안의 둘째 딸 지영. 오빠를 건사하기 위해 청계천에서 미싱을 돌려야 했던 지영의 엄마. 비혼을 주장하며 당차게 세상과 맞서는 언니. 그리고 지영을 사랑하지만 여전히 관습적 틀을 과감히 깨기에는 주저하는 남편 대현. 이들 사이에 자아를 찾고 자신을 일을 얻고자 하는 지영에게 성적 차별과 육아와 시댁에 대한 봉사와 경력직 단절의 담은 여전히 높고 높았다. 정유미의 연기는 최고점을 줄만하다. 대한민국 여배우중 누가 김지영을 이만큼 완벽하게 소화해 낼 수 있겠는가? 여기에 있는 듯 없는 듯 자연스러웠던 공유의 물오른 연기는 바로 이웃의 수많은 ‘김지영 남편’을 떠올리기에 충분했다.
 
최근에 해프닝이 하나 벌어졌다. 진보진영의 논객인 유시민이 그만 구설수에 올랐다. 사실 그의 잘못은 아니다. 그가 진행하는 유튜브 ‘알릴레오’에 출연한 패널이 그만 여기자 성희롱 발언을 하여 사단이 난 것이다. 노련한 유시민은 재빠른 사과로 더 이상 확산을 막았다. 그러면서 “성평등과 인권에 관한 저의 의식과 태도에 관해 결함과 부족함이 있었다.”고 몸을 낮췄다. 기자의 발언이 시정의 남자들이 사석에서 흔히 할 수 있는 정도로 치부한다면 지금은 그런 젠더 감수성으론 사람 대접 받기 어려운 시대가 됐다. 특히 중장년 남성의 ‘여성’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천박한 곳에 머물러 있는 한 말실수는 항상 터질 수 있다.
 
이 세상 절반은 여성과 남성이다. 대결보다는 공존해야하며 그 모색은 페미니즘을 넘어 휴머니즘으로 가야한다. 출발은 배려와 인정이다. 말 실수, 행동거지 하나하나 조심해야 할 우리 시대 남자들, 특히 아저씨,꼰대들에게 꼭 이 영화를 권해주고 싶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