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 : 제주축산진흥원

[미디어SR 정혜원 기자] 서울대 수의과 김재홍 교수는 현재 국내에 발생한 돼지열병은 "오히려 멧돼지나 북측을 통한 감염보다는 해외 돼지열병 발생국의 돈육가공품, 외국인 근로자 등을 통한 감염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돈육가공품 뿐만 아니라 전파원이 될 수 있는 오염 물질이나 야생 동물 등을 다양하게 데이터로 검증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한다.

김 교수는 미디어SR에 “다수 언론은 북한의 멧돼지를 통해 감염됐을 가능성을 얘기하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멧돼지를 통해 돼지열병이 확산됐다고 가정할 경우 이미 북한의 멧돼지 대다수가 감염되었어야 했으므로 감염 경로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북한은 지난 5월 30일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했다고 보고한 뒤로는 확산했다는 발표는 없었다.

현재 정부는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돼지열병의 정확한 감염 원인과 경로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정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감염 경로를 추적하는 한편 확산 방지 대응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 김 교수는 현재 경기 파주‧연천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이하 돼지열병)에 대해 정부가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으려면 의심되는 감염 원인과 경로를 하나씩 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비하는 정부의 대처가 정작 정확한 원인 규명에는 실패하거나 지나치게 비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다.

김 교수는 “정부가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으려면 진짜 위험 요인 가려내야 한다. 검증 가능한 발생 가능성은 빠르게 조사한 뒤 하나씩 배제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가능성은 열어두되, 배제할 수 있는 원인은 배제한 뒤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는 “국내의 멧돼지를 잡아 생체검사를 해봐야 데이터로 검증할 수 있다"며 검증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