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 3일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회에서 금감원, 정책금융기관, 은행 관계자들과 일본 수출규제 대응 간담회를 열어 전날 단행된 일본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에 따른 정책금융기관과 은행권의 피해기업 금융지원 세부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최종구 금융위원장, 윤석헌 금감원장, 이동걸 KDB산업은행장. 제공 : 금융위원회

[미디어SR 이승균 기자]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맞서 정부가 인수, 합병 자금 지원 카드를 꺼낸 가운데 정책금융기관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대응이 시작됐다. 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KDB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등 국책은행과 합동으로 `해외 M&A 인수금융 협의체`를 이달 말 출범한다.

 
협의체는 인수합병 자금 지원은 물론 대상 기업 발굴, 컨설팅 등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글로벌 IB 한국 지점도 협의체에 참여한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현재 참여 주체 모두가 협의체 결성에 동의한 상태로 협의체 운영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3일 정책금융기관, 일본 수출규제 대응 간담회에서 국내 기업 경쟁력 제고의 일환으로 M&A 지원 방침을 결정했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한국 배제 조치로 직접 타격을 받는 산업 분야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서다.
 
금융위에 따르면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자금 규모는 2조 5천억원 규모. 기업은행이 1조원, 수출입은행이 1조 5000억원의 인수합병 전용 자금을 활용하며 산업은행의 사업경쟁력 강화 지원자금 2조 5000억원도 추후 동원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M&A 법인세 세액공제를 통한 간접지원에도 나선다. 해외 소재, 부품, 장비 전문기업 인수금액에 대해서는 2022년 말까지 대기업 5%,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의 공제율로 법인세 세액공제를 해주기로 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일 종합대책 발표에서 "우리 산업의 대외 의존도를 획기적으로 낮추기 위한 항구적 대책도 마련해 가겠다"며 "해외 핵심기술 확보와 M&A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별도 펀드를 추진하는 것은 물론 해외 M&A 인수 자금 지원 등도 적극적으로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힌 만큼 추가 지원책 마련도 예상된다.
 
한편, 마련된 자금은 일본 수출 규제의 직접 타격을 받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 핵심소재 기업이 될 가능성이 크다. 그중에서도 일본기업 대체가 가능한 불산과 폴리이미드 부분 인수합병 자금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지난달 일본 수출 규제로 개별 수출 심사 대상으로 전환되어 수출 허가가 나지 않고 있는 포토레지스트, 불산, 폴리이미드 중 포토레지스트는 일본기업 대체가 어렵지만 불산과 폴리이미드는 일정 부분 대체 가능할 것으로 봤다.
 
특히, 규제 대상에 오른 고순도 불화수소를 제조할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 폴더블 스마트폰 핵심 소재에 해당하는 불소 함량 10% 이상 폴리이미드 소재 기업 등에 대한 투자가 기대되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미디어SR에 "금융당국과 일본 수출규제 기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상시로 논의하고 있으며 인수금융에 대한 은행의 니즈도 있어 인수금융 협의체 동참 기관이 추가로 나올 수 있다"고 시사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