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사옥. 제공 : 국민연금
국민연금이 일본 전범기업에 1조 2300억원을 투자하고도 손실이 나면서 전범기업을 포함, 인권과 노동 문제등을 안고 있는 기업에 대해 책임투자 원칙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민연금이 단순 전범기업 외에도 인권과 강제노동 등 리스크를 떠안고 있는 기업에 대해 투자 배제를 할 수 있는 원칙이 없기 떄문이다.
 
이종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사무국장은 29일 미디어SR에 "(전범기업에 대해)국민정서로 투자 철회를 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지만 전 세계적인 보편적 인권, 노동 문제가 발생한 기업에 대해 원칙을 세워 네거티브 스크리닝(투자 배제), 비중제한 등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제인권 규약에 따라 원칙을 세우면 미쓰비시 중공업 등 과거 강제노동 이슈가 발생한 기업에 대한 인게이지먼트(주주권 행사를 통한 관여)도 가능하리라 본다. 과거 인권과 노동 문제가 현재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는 관점에서 개입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로 투자 배제가 이뤄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26일 김광수 민주평화당 의원은 "국민연금이 미쓰비시 중공업 등 일본 전범기업에 1조 2300억원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84%에 달하는 일본 전범기업에 대한 투자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정감사에서부터 공단의 전범기업 투자는 국민 정서에 부합하지 않음을 수차례 지적했음에도 여전히 투자 방향이 바뀌지 않고 있다"며 "국민연금은 전범기업 및 사회적 지탄을 받는 기업에 대한 투자원칙을 제대로 세워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국민연금 측은 즉각 보도자료를 내 "국민연금의 해외주식 자산은 기금운용위원회가 부여하는 벤치마크지수에 따라 투자하고 있으며 일본을 포함한 글로벌 각 지역별 투자 비중도 그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고 해명했다.
 
개별 전범기업에 대한 투자금 증가는 공단이 별도 의사결정을 통해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연금의 해외주식 투자 규모 확대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국민연금의 해외주식 투자 규모는 2014년말 56조 6113억원에서 2018년말 112조 9610억원으로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은 해외주식 벤치마크에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 선진국 지수(MSCI AC World Index) 등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국민연금 측은 해외 주식 투자 중 해당 기업(전범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2014년 1.4%대비, 2018년 1.1%로 축소했다며 개별 기업이 아닌 전체 포트폴리오로 보면 최근 5년간 연평균 4.75%의 양호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