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장. 사진.구혜정 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3년안에 우리금융의 잔여 지분을 모두 매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2022년  우리금융은 21년 만에 민간의 품으로 돌아간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위원회는 24일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우리금융지주 완전 민영화 로드맵을 세웠다.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 잔여 지분 18.32%를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약 2~3차례에 걸쳐 차례당 최대 10%씩 분산 매각하겠다는 게 골자다.

지난 21일 우리금융이 현금과 신주 발행 50대 50 비율로 우리은행으로부터 우리카드 지분을 매입해 자회사로 편입할 계획을 밝힘에 따라, 올해 우리은행의 우리금융 지분 매각 작업이 완료된 후 내년부터 예보의 지분 매각을 시작하기로 했다.

우리카드 자회사 편입 과정에서 우리은행은 우리금융으로부터 우리금융 지분 약 6.2%를 받게 되는데, 금융지주법상 은행은 지주사 지분을 보유할 수 없어 취득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매각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한꺼번에 시장에 쏟아져나올 매물로 인해 오버행(대량 대기매물)이슈가 생기면서 최근 우리금융은 주가 부진을 면치 못하는 상황이었다. 이에 자회사 편입 작업이 마무리되고 우리금융 주가가 안정화된 이후 예보 지분 매각을 추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 관계자는 25일 미디어SR에 "우리금융의 오버행 이슈를 먼저 해결하고 예보가 보유한 지분을 매각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우리금융은 오버행 이슈 최소화를 위해 블록딜 구조를 짜놓고 전략적·재무적 투자자에게 지분을 매각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또한 정부는 시장 수요를 감안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약 2~3차례에 걸쳐 최대 10% 범위 내에서 매각 물량을 조정하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예보가 보유한 우리금융 잔여 지분 18%는 시장에서 한번에 소화되기 어려워 분산 매각의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올해 반드시 매각을 해야 한다는 계획은 없었지만, 가능한 한 조속히 매각을 해야겠다는 필요성에 그동안 계속해서 매각 방안을 논의 해왔다"라면서 늦어도 2022년까지는 완전 매각을 목표로 추진할 것을 밝혔다. 

내년부터 착수할 잔여 지분 매각은 전략적·대규모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희망수량경쟁입찰을 먼저 실시해, 예정 가격을 상회하는 입찰자들에게 희망하는 가격과 물량에 따라 가격순으로 낙찰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유찰되거나 남은 물량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블록세일 방식으로 전환해 처리한다. 블록세일은 가격과 물량을 미리 정해 놓고 특정 주체에게 일정 지분을 묶어 일괄 매각하는 지분 매각방식으로, 시간외거래나 장외거래로 이뤄진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 하반기 국내외 투자여건을 점검하고 내년 상반기에 1회차 지분 매각을 개시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금융지주는 1998년 외환 위기 이후 정부가 12조 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구 한빛은행 등 5개 금융기관의 부실을 정리하면서 100% 지분을 취득해 설립한 국내 첫 금융지주사다. 그동안 정부는 예보가 보유한 지분 매각을 통해 민영화를 추진해옴에 따라, 2016년 우리은행 지분 29.7%를 과점주주 7곳에 매각해 민영화 기반을 마련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예금보험공사는 지분율 18.32%를 가진 우리금융의 최대주주로, 우리금융의 완전 민영화를 위해 잔여 지분을 전부 매각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이번에 제시한 매각 방안을 통해 공적자금 투입 금융사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완전 민영화 작업을 마무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금융은 올해 초 지주사 체제로 전환 후 상반기 동양 및 ABL 자산운용, 국제자산신탁 등을 인수하는 등 공격적 M&A 전략을 추진하면서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강화해나가고 있다.

더불어 하반기 우리카드와 우리종금 자회사 편입을 앞두고 명실상부한 금융지주사로서의 면모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0년부터 지주사 내부등급법 승인 후 자본 비율이 상승하면 증권사, 보험사 등 전 금융분야에 걸쳐 적극적인 M&A로 규모를 확대해나갈 전망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