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사진. 구혜정 기자

 

현대차 정몽구 재단은 지난 2007년 100% 정몽구 회장의 사재로만 설립된 재단이다. 계열사가 동원되어 주식이나 현금을 출연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타 대기업 산하 재단과 차별화 된다.

그러나 재단 설립을 정몽구 회장의 선의로만 읽기에는 무리가 있다. 정 회장은 지난 2006년 현대차그룹에서 900억원 상당을 횡령하고 회사에 2100억원의 손해를 끼친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이후 정 회장은 2007년 해비치사회공헌문화재단을 설립했고 이 재단의 명칭이 2011년 지금의 현대차 정몽구 재단으로 바뀐 것이다. 결국 비자금 사건이라는 오점 이후 이미지 쇄신을 위해 설립된 재단이기도 한 셈이다.

역으로 이런 배경으로 인해 재단의 투명성에 대해서는 신경을 쓸 수 밖에 없었다. 이를 상징하는 사례가 현대차 정몽구 재단의 초대 이사장부터 지금까지 정몽구 회장 본인이나 총수 일가가 이사장을 맡지 않았다는 점이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 이사회, 총수일가 배제

현재 이 재단의 이사장은 대통령 비서실 정책실장, 제9대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을 역임한 권오규 씨가 맡고 있다. 또 이형근 전 기아자동차 대표이사, 부회장이 부이사장을 맡고 있고, 신수정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 정남식 필메디스 내과의원 원장, 김원용 법무법인 김&장 미래사회연구소 소장, 최준명 전 한국경제신문 사장 등이 이사로 활동 중이다. 이중 이형근 전 기아차 대표이사는 현재는 경영 일선에서는 물러나 있지만, 오너 일가와 상당히 친밀한 관계다. 이들 이사들의 경력은 모두 재단 홈페이지 상에도 공개되어 있다.

재단 지배구조에서 눈에 띄는 점은 사회공헌위원회라는 이름의 자문위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재단 정관에 따르면, 사회공헌위원회는 법인 사업추진의 효율화를 위해 학계나 문화계, 경제계 및 법조계 등 각계 각층 인사로 구성된 사회공헌위원회를 두고 출연기금의 사용방법과 운용주체 등 구체적 이행방안을 수립하고 이사회 의결을 거쳐 진행한다.

재단 관계자는 "전년도 이사회에서 결정돼 올해 4월부터 운영되고 있는 제도다. 이사회 직속기관으로 자문하는 역할을 하고 신사업이나 검토해야 할 사안에 대해 검토하고 이사회에 의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사회공헌위원회에는 김태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신현상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이상명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이선철 감자꽃 스튜디오 대표, 조상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장, 최우정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등 주로 학계 관계자들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의 이사회는 연 2회 정기이사회와 필요시 비정기적인 임시 이사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회의록은 홈페이지 상에서는 공개되고 있지 않다. 다만 재단 관계자는 "주무관청인 문화체육관광부에 이사회 개최 후 의사록을 보고한다"고 설명했다.

재단 지배구조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 윤리규정 유무와 실효성과 관련, 재단 관계자는 "윤리규정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사회의 운영은 정관을 따르고 있다"고 전했다. 정관 제2장 임원 제8조 임원의 해임에 따르면, 법인 목적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거나 임원간의 분쟁 혹은 회계부정 또는 현저한 부당행위, 법인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 등을 할 경우, 이사회 의결을 거쳐 해임이 가능하다고 명시되어 있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은 타 대기업 산하 재단과 비교해 보았을 때, 총수 일가를 배제하려고 노력하는 등 지배구조 투명성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줄 만하다. 다만, 회의록을 주무관청에 한정해서 공개하고 있는 점과 윤리규정이 정관상에 있지만 구체성이 다소 결여된 면이 아쉽다.  

[기업과 재단, 현대차 편①] 한눈에 보는 현대차재단
[기업과 재단, 현대차 편②] 잘하는 협력재단...주식보유재단 2% 부족
[기업과 재단, 현대차 편③] 현대차 정몽구 재단 지배구조
[기업과 재단, 현대차 편④] 적극적인 정량, 정성적 목표 수립 필요
[기업과 재단, 현대차 편⑤] 좋은 데 잘 쓰고도...지출내역 투명 공개 아쉬워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