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권역별 디지털 전환 사업추진 현황 (제공 : 금융감독원)

올해 금융사 10곳 중 6곳 이상이 총 5845억원의 예산을 들여 디지털 전환 사업을 추진한다. 이에 따르는 리스크 관리 감독 체계도 강화될 예정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 금융사 108개를 대상으로 디지털 전환 사업 추진 현황을 조사한 결과, 그중 71개사(65.7%)가 디지털 전환을 활발히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디지털 전환이란 고객과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업이 디지털과 물리적 요소를 통합해 새로운 상품 및 서비스를 만들어 경영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위 71개 금융사는 올해 중 164건의 디지털 전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이에 따른 예산으로 총 5844억 8000만원을 배정했다. 이는 회사당 평균 82억 3000만원에 달하는 액수다.

그중에서도 은행이 디지털 사업에 투입하는 예산은 평균 235억 6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조사에 응한 17개사 모두에서 총 48건의 디지털 전환 사업을 추진한다고 답했다. 카드는 8개사에서 평균 52억 6000만원, 보험은 32개사에서 평균 32억 1000만원, 증권은 14개사에서 평균 28억 1000만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사업 내용을 보면 AI서비스 도입·확대가 38건으로 가장 많았고 로봇 자동화 프로세스(RPA) 등 내부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37건),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고도화(26건) 순으로 높았다.

한편 디지털 전담 조직을 마련한 금융사는 전체 108개사 중 63개사(58.3%)로 평균 56.4명의 인력을 배치했다. 상위 4개 시중은행의 평균 디지털 전문인력 수는 194.5명으로, 은행과 카드사가 보험, 증권사보다 전담조직 설치 비율이 높고 조직 규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64개사(59.3%)는 디지털 전문인력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답했다.  

이에 금감원은 금융사의 디지털 전환에 있어 보안, 운영, 내부 통제 측면의 리스크가 따를 것을 지적했다. IT 기술의 취약점을 이용한 사이버 위협이 확대되고 신규 시스템 도입에 따른 전산 장애 증가 등이 우려되지만, 금융사 내부적으로 이를 스스로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제 역량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14일 미디어SR에 "금융사들이 (디지털 전환에 따른) 리스크를 통제, 관리할 수 있도록 금감원이 체계를 만들어 주고 필요하면 직접 점검할 예정"이라면서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할 때 금융사가 자체적으로 점검해 리스크를 없애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정보보호 자율평가 제도를 시행하고 정보보호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들의 리스크가 통제되는지 지켜보라는 의미"라고 전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사이버 침해같은 경우는 1년에 한 번씩 취약점 분석 평가 결과를 점검할 예정"이라며 "현재 금융사들이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는데 아직 제도화는 안 돼 있다. 금융위와 협의해 의무화 방안을 검토해서 올해 중 확립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