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B하나은행 ATM 기기. 이승균 기자

국내 주요 은행들이 점포 폐쇄를 두고 불편한 속내를 드러내고 있다. 비대면 채널 확대에 따라 수익성이 떨어진 점포를 자연스럽게 폐쇄하고 싶지만, 자율규약이 마련되면 의무적으로 사전 영향 평가를 받아야 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는 금융당국과 협의해 점포 통폐합 관련 협약을 마련 중이다. 내부 보고 단계에 들어갔다.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5월 중으로 협약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미디어SR에 "공동점포나 탄력점포 등 방식으로 기존 점포를 활용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결국 손실을 감내하면서 영업점을 유지해야 하는 것은 여전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대체수단 마련도 쉽지 않다. 현 시점에서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보장을 위해서는 결국 지점 유지 외에 마땅한 대안이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이미 은행들은 자율협약 마련 전 지점 다이어트에 나선 상황이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4대 시중은행은 올해 2월까지 30여개 점포를 폐쇄했다. 국내 17대 은행 점포 수는 2018년 6765개로 2016년 대비 335개 축소됐다. 매년 100여개 점포, 전체 대비 5% 가량이 사라지고 있는셈이다. 일부 은행은 기존 기업 영업과 리테일 영업을 병행하는 지점을 분리해 실제 폐쇄 점포 수는 더 많다.

금융당국은 모범규준 제정에서 자율협약으로 물러섰으나 은행권 점포 축소에 따른 금융 취약계층에 보호를 위해 지점 폐쇄 전 자체 영향평가는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은행은 타 은행과 공동점포를 마련하거나 자동화기기를 유지하는 등 취약계층을 위한 충분한 대책을 강구해야만 지점을 폐쇄할 수 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외국계 은행은 대단위 점포 폐쇄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데 정부가 공적 기능을 강조하면서 점포 축소에 제약을 걸고 있다"며 "어느정도 비용 효율화 측면을 고려해 자율 협약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은행연합회는 미디어SR에 "시중은행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규약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