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은 올해 1분기 지식재산(IP) 보증으로 722억원을 지원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 해 같은 기간 대비 87.5% 늘어난 것으로, 2006년 IP보증 제도 도입 이후 1분기 실적으로 최대 규모다. 최대 실적을 거둔 것에는 2월부터 시행한 'IP패스트보증'의 역할이 컸다는 게 기보 측의 설명이다.

기존 기술평가 보증은 변리사, 공학박사, 공인회계사 등 외부전문가들이 직접 참여해 절차를 지켜가며 평가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간다.

반면 패스트보증은 지식재산 가치를 자동 산출해주는 특허평가시스템(KPAS)을 활용해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에 기보 관계자는 미디어SR에 "과거에는 보증 평가를 위해 통상적으로 외부 변리사, 회계사 등의 인력 풀을 구성해야 해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했다. 그런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2월 초에 몇 년동안의 매출액을 입력하면 빅데이터 기반으로 특허권의 향후 기술가치가 자동으로 창출되는 IP패스트보증을 도입했다"며 "비용과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어서 IP 보증을 활성화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기보는 IP금융에 대한 개념이 생소하던 2006년부터 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담보로 보증업무를 시작했다. 지난해까지 IP보증 지원 금액은 1조5천534억원에 달한다.

올해는 지난해 대비 1천900억원이 늘어난 4천6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위 관계자는 미디어SR에 "IP패스트보증 시행을 염두에 두고 초기에 지원 계획을 늘려서 잡았다. 최근 정부가 혁신성장과 IP금융 강화 등을 추진하는 정책과 궤를 같이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지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 최근 관련 부처에 IP금융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이와 관련 금융위원회와 특허청은 지난 17일 지식재산금융 포럼을 발족하고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금융위는 혁신금융을 실천해나가는 과정에서 지식재산이 기업자금조달에 적극 활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며, 금융권이 지식재산금융 등 혁신에 적극 동참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과거에는 기업의 생산성과 부가가치 창출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기계‧설비와 같은 유형자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세계경제의 패러다임이 지식기반경제로 빠르게 이동하며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등 지식재산이 경제성장과 혁신을 위한 핵심요소로 등장하고 있다"며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향후 혁신금융을 실천해나가는 과정에서 혁신기업의 핵심자산인 지식재산권이 자금조달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세심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