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픽사베이

지난해 상위 10%의 종합소득은 전체 종합소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하위 10%의 종합소득은 전체의 0.4%에 그쳤다. 

31일 국세청의 ‘2018년 국세통계연보’를 살펴보면, 2017년 기준 종합소득 신고자 639만3891명 가운데 상위 10%의 종합소득은 113조원으로 전체 종합소득의 56.5%를 차지했다. 상위 20%는 29조원으로로 15%이다.

상위 10%의 1인당 평균 종합소득은 1억7700만원이었다. 반면 하위 10%의 종합소득은 7766억원으로 전체의 0.4%에 그쳤다. 하위 20%는 2조원으로 1%를 차지했다.

근로소득 역시 상·하위 10%간 편차가 컸다. 연말정산 신고자(1801만명)를 대상으로 한 근로소득 분위별 연말정산 신고현황을 보면, 상위 10%의 근로소득은 202조원으로 전체 633조원의 32%를 차지했으며,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1억1300만원이었다. 하위 10%의 비중은 전체 근로소득의 0.7%, 이들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240만원이었다. 

근로소득보다 종합소득의 격차가 큰 이유는 자영업자의 사업 소득이나 이자·배당·임대수입 등 자산소득 일부가 포함된 종합소득이 임금근로자의 근로소득보다 더 상위계층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종합소득에는 종합과세 대상이 되는 2000만원 이상 이자·배당소득과 부동산임대소득, 개인사업자들의 사업소득, 종합소득으로 신고된 근로소득 등이 포함된다. 

국세청 관계자는 31일 미디어SR에 "종합소득세는 신고대상이 사업소득, 근로소득, 금융소득 등을 합산한다"라며 "소득분위 상·하위간 종합소득세의 격차가 근로소득보다 큰 것은 당연하다. 우리나라의 연봉이 높은 사람들을 보면 금융 소득이 다 있고, 사업소득도 많다. 근로소득 같은 경우에는 한계가 어느정도 있고 많을 경우 공시까지 해야 하지만, 사업소득은 버는 만큼 번다. 국내 소득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이 많지 않고 사업소득이 훨씬 많다"라고 전했다. 

실제로 이자·배당수익 등의 금융소득을 5억원 넘게 벌어들인 이들은 4515명으로 전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의 3.4%에 불과했지만, 이들이 차지한 금융소득은 전체의 52.2%에 달했다. 지난해 5억원이 넘는 금융소득을 올린 인원은 4515명으로 전년(3603명)보다 25.3% 증가했다. 아울러, 사업소득의 경우 0.3%에 불과한 5억원 초과 사업자가 전체 사업소득의 11.7%를 차지했다. 결국 종합소득에 포함되고 큰 소득을 얻는 금융소득과 사업소득이 상위 계층에 몰려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