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화 사회혁신가네트워크 대표. 구혜정 기자

20년 넘게 대구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바람직한 사회변화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공익 활동을 이어온 인물이 있다. 윤종화 대구시민센터 상임이사다. 1998년 대구 참여연대 설립을 주도해 권력 감시자 역할을 맡아오다 2007년 참여연대를 떠난 이후 대구시민센터를 만들어 풀뿌리 공익활동을 지원해오고 있다.

최근, 사회혁신가네트워크 대표 역임과 동시에 대구지역혁신포럼 추진위원으로 동참해 지역 공동체가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할 수 있도록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하고 있다. 윤 상임이사를 만나 혁신과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나눴다.

 

-대구지역혁신포럼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만나는 자리로 보인다. 어떤 소통이 필요할까?

시민단체, 기업, 정부가 만나면 협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행정은 시민사회를 파트너로 대해야 하고 시민사회 역시 단순 수혜자가 아니라 파트너라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지원받는 것에서 벗어나 본인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 문제를 두고 정부와 기업을 파트너로 마주하는 관계를 가져야 한다.

물론 이를 위해 행정이 권한을 넘겨주는 것이 우선이다. 권한을 넘겨주면 끊임없이 시민사회는 움직이고 정부는 동참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개선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혁신포럼에서 시민사회와 공기업의 만남이 기대된다

기본적으로 공기업은 시민사회와의 만남에서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준조세로 보는 경우가 있다. 결국, 포럼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보장해주어야 한다. 준조세로 무언가를 내어놓아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면 포럼은 한 두 차례에서 끝날 가능성이 크다.

그렇지 않고 공기업이 본인들이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지속가능한 상황이 마련되는 것이다. 그런 제안을 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내 서로에게 신뢰를 주어야 한다. 아직까지는 모자란 상황이다. 

 

-오랜 기간 공익활동을 해오시면서 이번 포럼 성공을 위해 정부에 제안한다면?

정부가 혁신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일방적 공급이 아니라 욕구가 있는 절실한 시민들의 동참을 이끌어내야 하고 그 성과가 시민들에게 돌아가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핵심이라고 본다.

지역 혁신, 사회 혁신에서 중요한 것이 정부의 혁신임 셈이다. 그 과정에서 시민이 주체로 설 수 있다. 권한, 재정, 행정력 모든 것을 쥐고 있으면 행정이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 정부 혁신과 사회 혁신을 다른 문제로 인식하는 순간 또 다른 문제를 만드는 것이다.

행정안전부만 하더라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포럼 추진단 간의 논의의 장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전국에서 다양한 행사를 할 때 정부 혁신 사업과 사회 혁신 사업이 똑같은 방식으로 돌아가야 한다. 최종적으로는 이 정부 혁신과 사회 혁신을 통합하는 개념이 나와야 한다.

 

-포럼 전국 확산을 계획 중이라고 들었다. 무엇이 필요할까?

한국사회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방식이다. 그런 의미에서 실험이라고 본다. 대구가 1차 실험을 하는 것이다. 성급하게 한 번에 될 것이라고 보지는 않는다. 대구에 이어 전국으로 실험해봐야 한다. 지역별로 특성이 있다. 내년 정도에 이것의 지속가능 여부가 보이지 않을까 싶다.

무엇보다 지역 소재 공기업이 핵심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12개 대표 공기업들이 1차 포럼에 동참을 선언했는데 자칫하면 포럼 정착을 방해할 수 있다. 지역 포럼이 열릴 때마다 거점 공기업들이 움직여 줘야 한다. 이 실험의 포인트다. 그것을 유도해내는 설득의 논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에 승패가 있다.

 

-시민사회 관점에서 성장의 한계는 없나?

시민들의 주체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나서는 것은 과거에 비해서 굉장히 성장해 있다. 그럼에도 시민운동은 여전히 20년 전 사용했던 그 방법론을 가지고 사회 문제에 접근하고 정부와 행정을 감시하고 있다. 시민운동 영역도 시민이 스스로 하게끔 해주는 방식으로 변화를 주어야 한다.

 

-이러한 모델은 공기업에만 유효할 것 같지 않다.

이번 포럼에서 기업 CSR 차원에서 동참을 다루고 있지는 않고 있으나 이 모델이 잘 자리 잡으면 기업이 CSR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하는 모델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기업이 신나게 사회문제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방향으로 역전을 해주어야 한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