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인천시청 앞에서 인천 광역버스업체 근로자들이 준공영제 도입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제공: 광역버스업체

인천시와 인천 광역버스의 갈등이 답보 상태에 빠졌다.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안만 가중되고 있다. 

지난 9일 6개의 광역버스 업체가 인천시청에 8월 21일부터 광역버스 19개 노선을 중단하겠다는 폐선 신고를 했다. 

신강교통, 인강여객, 선진여객, 천지교통, 마니교통, 신동아교통으로, 이들이 폐선 신고한 버스는 1000, 1100, 1101, 1200, 1300, 1301, 1302, 1400, 1500, 1601, 2500, 9100, 9200, 9201, 9300, 9301, 9500, 9501, 9802다. 

이들은 최저시급 인상과 운수종사자 휴게시간 보장법 신설로 운송 수지 적자가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주 52시간 시행으로 인한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건비가 가중돼 부담이 더해지고 있다고 호소했다. 

광역버스업체의 경영 악화의 근본적인 원인에는 승객 감소에 있다. 인천 광역버스 이용자는 2013년 2326만 명이었지만 2017년 1685만 명으로 감소했다.

버스업체 관계자는 13일 미디어SR에 "현재는 수익구조가 나올 수 없는 상태다. 2014년 입석 금지가 시행되자 광역버스를 떠난 승객들이 돌아오지 않고 있다. 여기에다 인천 지하철 2호선이 들어와 승객이 감소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 설명했다. 

그는 "2017년에도 폐선 신고를 했지만,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된다는 이유로 반려를 받았다. 공공재이기 때문에 개인사업자들의 폐업이 마음대로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노선변경을 하거나 요금 인상을 검토하거나 등 어떤 행정이 있어야 하는데 별다른 행정이 없었다. 업체에서 알아서 운영하라는 얘기밖에 안 된다. 적자 누적 부담을 업체에 떠넘긴 것"이라 비판했다. 

이들은 인천시에 준공영제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준공영제는 지자체가 대중교통의 공공기능 유지를 위해 적자 일부를 보전해주는 제도다. 현재 인천시 일부 시내버스에 준공영제 지원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광역버스업체도 준공영제를 도입해 적자를 보전해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인천시는 준공영제 지원은 애초에 검토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다. 유성훈 인천시 버스정책과장은 미디어SR에 "인천시의 준공영제 대상이 아닌 시내버스 일부도 준공영제를 해달라 요구하는데, 광역버스에 준공영제를 도입하면 나머지 시내버스도 해줘야 한다. 형평성 문제가 있다"며 그 이유를 전했다. 

인천시는 폐선 신고 수용, 반려, 조건부 승인 세 가지를 검토하고 있다. 지자체의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당장 21일 광역버스 운행이 중단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 과장은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가 협의해 결론이 나와야 운행 중단이 가능하다. 독단적으로 운행을 중단하면 불법"이라 설명했다. 

인천시와 버스업체의 해갈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시민의 불안감만 높아지고 있다. 인천시에 거주하는 대학생 전상욱(24) 씨는 "강남 쪽 갈 때 편하게 버스를 이용했는데 광역버스가 없어지면 매우 불편할 것 같다. 인천의 경우 지하철은 환승을 많이 해야 해 시간은 비슷해도 편리성이 크게 차이난다. 광역 버스가 없어질까 걱정"이라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