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의 미투는 지난 2월 한 여 검사의 폭로로 시작됐습니다. 그 이후 미투는 사회 전방위로 뻗어 나갔습니다. 생각하지도 못했던 유명인들 혹은 권위 있는 인물들이 가해자로 지목되면서 사회적 충격의 진동도 컸습니다.

미투 캠페인이 있기 훨씬 전부터 유명인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성 스캔들은 종종 있었습니다. 때로는 단순한 성 스캔들이 아닌 '성폭행이라고 주장'하는 피해자의 목소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는 이 모든 관계를 '유명하지 않은 자가 유명인을 통해 이득을 얻고자 한 관계'라고 프레임화 하는데 익숙했습니다. 이 프레임은 유명인이 유명세를 이용해 성적 착취를 하지 않았을까라는 의심보다 더 공공연하게 이야기 됐습니다.

그런데 미투 캠페인을 계기로 비로소 들리게 된 피해자의 목소리는 어땠나요. 피해자들은 그 관계 속에서 이득을 얻고자 한 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럼에도 적극적으로 완강하게 거부하지 못했던 이유는 '나를 해할 수 있는 상대의 위치' 때문이었다고 말하면서 성범죄 속 관계의 불평등함에 대한 논의가 비로소 시작됐습니다.

최근 유튜버의 폭로를 계기로 드러난 비공개 촬영회라는 사진계의 음성적 문화. 그 속에도 관계의 불평등함은 목격되고 있습니다. 동시에 이를 상업적으로 소비하는 언론의 보도 행태도 심각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피해자와 이 음성적 문화를 폭로하고자 하는 내부 고발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언론을 살펴보았습니다. [편집자 주]

제공 : 픽사베이

비공개 촬영회 폭로로 사진계 내 성폭력이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세간의 관심은 비공개 촬영회로 드러난 사진계 내 성폭력이 아닌, 유튜버 양예원 씨와 정 모 스튜디오 실장의 진실공방에 집중돼 있다. 

이 가운데, 사진계의 내부고발자인 박재현 루시드포토그라피 대표는 미디어SR에 비공개 촬영회의 실상과 사진계 내 성폭력의 심각성을 폭로했다. 비공개 촬영회에서 피해 모델은 그저 시키는대로 따를 수밖에 없다. 남성들이 '권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들은 어떻게 '비공개 촬영회'라는 함정에 빠져들게 되나

비공개 촬영회는 사진작가, 일반인, 60~70대 노인 등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한다. 이들 대부분이 남성이다. 이들은 음란 사진 모델이 되어줄 '뉴페이스'를 찾는다. 보통 어린 여성이며, 배우, 모델 지망생은 물론 일반인인 경우도 있다. 아르바이트 사이트에 피팅 모델 구인 광고를 내 모델을 찾는 수법 등을 사용한다.

이렇게 찾은 여성 모델과 처음 몇 차례는 웨딩 사진 등 정상적인 촬영을 진행해 안심시킨다. 그러나 그 후 단순 섹시 컨셉으로 시작해 단계적으로 노출 수위를 높여 촬영한다.

이중 삼중으로 걸어 잠근 스튜디오 안에서 여성 모델은 반항할 수 없다. 수십 명의 남성에 둘러싸여, 그들이 시킨대로 하지 않으면 어떤 일을 당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비공개 촬영회에서 여성 모델은 '을'이다. 박 대표는 "사진사들의 모델에 대한 조롱이나 성적 발언을 하는 것은 물론, 모델이 적극적으로 하지 못하거나 표정이 안 좋으면 욕을 하거나 한숨을 쉬면서 안 좋은 분위기를 형성하며 모델에게 압박을 가한다. 그런 것도 포함해서 폭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사람들이 실제로 성추행을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박 대표가 제보한 피해자 A씨의 사례다. A씨는 피팅 모델 모집 글을 보고 촬영을 시작했다. 동생뻘, 동갑뻘, 삼촌, 아빠뻘로 보이는 사람들이 10~20명 모여있었다. 그들은 처음부터 노출 촬영을 강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 번 섹시 컨셉을 찍더니 란제리, 반누드, 전신 누드까지 단계적으로 수위를 높여갔다. A씨는 거부할 수 없었다. 

"거부요? 전 혼자였고 여자인 저로서는... 남자 수십 명에게 둘러싸여 절대 거부할 수 없었어요. 담배 냄새와 한숨 소리로 가득찬 공기... 수십 명의 눈초리... 무언의 압박감... 아... 내가 너무 멀리 와버렸구나... 그들은 제 조금의 거부 의사조차도 허용하지 않았어요. 출구는 없는 거나 마찬가지였어요. 조금의 거부 의사를 보이거나 불편해 보이거나 제 표정이 좋지 않으면 인상을 팍팍 구기고 욕설을 해대는 저 험악한 괴물들을 내가 어찌할 수 있을까... 제가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자 그 촬영을 열고 진행하는 실장이라는 사람이 제 성기를 터치하고 자위기구를 잡고 삽입했어요."

"그곳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최대한 빨리 그곳에서 탈출하는 방법을 찾는 것뿐이었어요. 결국 그것은, 저들의 요구대로 해야만 여기서 안전히 나갈 수 있겠다... 였죠."

20여 명의 남성에게 둘러싸인 상황에서, 피해 여성이 할 수 있는 것은 그저 그들이 시키는 대로 따라 최대한 빨리 벗어나는 것밖에 없었다. 그래서 피해 여성들의 사진은 '웃는 사진'이 많다. 박 대표는 "웃지 않으면 험악한 분위기를 만드니 억지로라도 웃는 상태에서 촬영된다"라고 말했다.

사진사들로부터 협박을 받았다는 모델들도 있다. 박 대표는 "다른 사진사들에게 쟤 이상하다, 꽃뱀이다 이렇게 소문내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비공개촬영회에 참여한 이들은 모델, 배우를 꿈꾸고 있는 여성의 커리어를 손에 쥐고 협박하기도 한다. 

그들이 누드 사진을 갖고 있는 것 자체도 권력이 된다. 사진 유포를 원하지 않는 여성에게 협박 도구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 대표는 "그 사진을 갖고 있는 것만으로도 큰 위해로 작용이 된다. 그 사진을 지워달라고 요청해도 삭제했는지 안 했는지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런 비공개 촬영회의 실상이 폭로되면 다 같이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일종의 '남성 연대'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연대는 모델들이 촬영회 내용을 폭로하지 못하게 조직적으로 압박한다. 이른바 '남성 카르텔'인 것이다. 

함정에 빠진 피해자에게 행해지는 2차 가해

이렇게, 원하지도 않은 누드 촬영을 했어야 했던 피해자들에게 돌아오는 것은 "그러니까 왜 그런 곳에 갔어", "돈 받았으면 네가 동의한 것 아니야?"라는 2차 가해였다. 실제 많은 사람들이 돈을 받고 합의한 것인데 무엇이 문제냐는 시각을 갖고 있다. 이런 시각에 피해자들은 고통받고 있다. 

A씨는 "(그 말을 들은 순간) 제 잘못인 건가 하고 착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바랐던 건 그냥... 그런 게 아니라 단지 저는 그냥 예쁜 사진을 갖고 싶었고... 어디에서나 당당하게 걷는 멋진 모델이 되고 싶었어요. 그렇게 모델로서의 저의 꿈은 철저히 짓밟히고 더럽혀졌어요. 제 잘못인가요?"라며 고통을 호소했다. 

이런 시각에 대해, 박 대표는 "모델이 금전을 목적으로 동의 하에 촬영을 했다고 치자. 그래서 모델들이 당한 그 모든 일들은 그녀들이 당연히 견뎌야 할 일인가? 돈 때문에? 돈을 받았으면 받은 액수만큼 받은 인격을 무시당하고 짓밟히고 성적 학대를 당하고 앞으로도 평생 고통 받아야 하나? 모델의 표정, 포즈가 좋지 않을 경우 "내가 얼마를 내고 여길 왔는데"라며 인상쓰고 욕하고 압력을 가하며 셔터를 눌러댄 사람들은 무죄인가?"라고 반문했다. 

비공개 촬영회, 양예원 씨가 몇 번 촬영했는지와 같은 진실공방에 집중하기 보다 이 사건을 사진계 내에서 일어난 '권력형 성폭력'으로 보고 재발을 막아야 할 때다. 

[비공개 촬영회는 무고한가①] 명백한 성착취 VS 상호 동의 속 거래
[비공개 촬영회는 무고한가②] 피해자 "거부? 촬영장 안에선 그 어떤 것도 '흉기'"
[비공개 촬영회는 무고한가③] 내부고발자 "핵심은 사진계 내 성폭력'"
[비공개 촬영회는 무고한가④] 권력형 성폭력의 또 다른 이름
[비공개 촬영회는 무고한가⑤] 언론이 성범죄를 보도하는 자세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