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포털, 동반자인가 적대자인가 토론회에 참석한 토론자들 왼쪽부터 윤성옥 경기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김병희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송경재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배정근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 임종섭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나연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김선호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팀장 . 사진. 권민수 기자

결국 문제는 품질이다. 그러나 현재 포털과 언론의 관계성 논의에서 품질은 완전히 배제되어 있다.

28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언론과 포털, 동반자인가 적대자인가라는 타이틀의 한국 온라인 신문협회 주최 토론회가 진행됐다.

포털과 언론의 불공정 관계 문제 있다 … 대다수 학자들 동의

이날 학계의 다양한 미디어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포털과 언론의 불공정한 관계에 대한 지적 및 포털의 비대한 권력을 감시해야 할 필요성 등이 제기됐다.

이완수 동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부 교수는 "포털과 언론사들은 백화점과 입점 업체와 같은 관계"라고 비유하며, "이 불공정한 관계에서 벗어나려면 언론사들이 뉴스 전문 포털을 만들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의 발제는 포털이 자의적으로 뉴스를 편집하고 유통시키면 사회적 의제설정과 여론 형성을 왜곡할 수 있기에, 포털이 뉴스 편집권을 독점하는 환경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해당 발제의 한계는 포털에서 벗어난 언론사들이 '왜곡'하거나 질이 낮은 뉴스를 생산할 가능성도 꽤 높다는 현실이다. 이와 관련, 이 교수는 "언론유관단체들이 협의체를 구성해 객관적 지침을 마련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으나, 언론사와 이해관계가 얽힌 유관단체에서 뉴스 품질 관리를 철저하게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현재 역시도 각 언론사에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내부 심의 과정이나 언론중재위원회와 같은 단체에서의 심의 등이 있지만 실효성 부분에서는 여전히 의문이 남기 때문이다.

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언론사의 과잉부터가 문제다. 언론사의 과잉으로 인한 과열 경쟁이 문제였다"라며 언론사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것의 책임 역시 포털에 있다라고 주장했다. 포털과 기사 검색 제휴만 하더라도 언론사의 먹거리 문제가 해결되기에 취재 능력 등 전문성이 없어도 언론사들이 우후죽순 생겨났다는 것이 그 주장의 근거였다.

또 한 교수는 포털이 기사의 질적 하락 역시도 야기했다라며, 포털로의 의존 현상이 커진 상황에서 포털이 기존 매체의 브랜드 파워를 완전히 배제하고 무분별하게 늘어난 언론을 무조건 1/N화 하는 편집 전략을 택하면서 주요 언론들의 영향력이 죽을 수밖에 없었다고도 지적했다.

한 교수는 그러나 언론사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으로는 "포털과 언론이 각각 현실적인 문제가 있기에 한번에 관계를 끊기보다는 유예기간을 둬 언론이 자생적으로 수를 줄여나가게 되면 시장 질서가 자리잡힐 것"이라고 마무리 했다.

한 교수의 의견은 브랜드 파워를 가진 언론사의 기사는 질적 수준이 높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는 점, 포털로 인한 과잉 경쟁이 배제된다면 언론사의 품질 관리가 자연스럽게 될 수 있다는 전제가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현실적으로는 브랜드 파워를 가진 언론사들 역시도 여러 측면에서 비난의 대상이 된 현 시점에 메이저 언론사가 포털이 빠지기만 한다면 품질 관리를 이룰 수 있을까는 의문이 남는다.

뉴스 품질을 고민해야 할 시기

이와 관련, 임종섭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언론인들은 뉴스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임 교수는 디지털 뉴스 2017년 보고서를 인용해 "한국 뉴스 생태계는 처참하다. 국민들이 뉴스 전반에 대한 신뢰도가 36개국 중 36위다. 내가 이용한 뉴스에 대한 신뢰도 역시 최하위다"라며 "뉴스의 위기다"라고 전했다.

그는 "네이버에 게재된 기사의 조회 건수를 뉴스 제작의 핵심 가치로 삼는 성향이 고착화된 마당에, 이를 심각하게 생각해 대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 언론사는 현재의 생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복잡성을 구현해 복잡성은 복잡성으로 통제 해야한다. 예컨대, 보수와 진보 언론사가 기사 제작과 유통을 제휴하거나, 네이버와 같은 포털이 색깔이 다른 언론사들의 콘텐츠를 복잡하게 제시해 복잡성을 실현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나연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국내 뉴스 소비자들은 미국에 비해 특정 언론사의 충성도가 낮고 언론사별 질적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한다"라며 "한국 신문사는 각 사의 차별화된 가치가 없다면 소비자들이 점점 더 외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온라인 저널리즘의 시대에서 한국 언론은 자생하기 위한 전략이 있는지 의문이다. 또 뉴미디어 기술의 혁신에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도 드러나는 바가 없다. 생산에만 관심이 있고 유통에는 관심이 없다는 점도 큰 문제다. 소비자에 대한 분석도 전무한 실정이다"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날 사회를 본 배정근 숙명여대 교수는 "결국은 저널리즘의 가치를 복원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지속가능한 해결책은 바로 여기에 있다"며 이날 토론을 마무리 했다.

이날 전문가들은 "뉴스의 품질이 중요하다. 잘못된 생태계에서 잘못된 뉴스들이 범람한다"라고 지적하지만, 정작 언론들은 현재 포털과 언론의 관계에서 질적 가치에 대한 아젠다 설정에 게을렀던 것이 사실이다. 

이날 참석한 한 언론 관계자는 "좋은 기사를 아무리 만들어도 이용자들의 호응이 없다. 이용자들이 건강한 콘텐츠를 접하려고 하지 않고 또 그것을 유료로 접하려고 하지도 않는다"라며 "이런 상황 가운데, 지금까지 언론사들의 행보는 포털 속에서 불가피하게 선택한 수단이다. 또 다수의 언론사들은 아웃링크가 정답이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이제는 포털에서 벗어나 다시 원점에서 경쟁해봐야 한다는 시각이다"라고 성토했다. 이에 대해 임종섭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수용자를 비판해서는 안된다. 사람들이 상품을 사지 않는다고 불평해서는 안된다. 파는 사람이 문제일 수 있다. 책임을 이용자에게 떠넘기는 것은 문제가 있다. 시장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그 보다는 떠나간 사람을 잡을 방법을 고심해야 할 때다"라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