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사진. 배선영 기자

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가 포털 사이트의 검색 결과를 분석, 발표한 결과 네이버 등 국내 포털은 "언론사의 브랜드 파워 등은 철저히 배제한 채 공평한 편집만을 진행한 것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28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언론과 포털, 동반자인가 적대자인가'라는 타이틀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주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발제자로 참석한 한규섭 교수는 2016년과 2017년 두 해에 걸쳐 네이버, 다음 등 국내 최대 포털과 글로벌 구글 등의 플랫폼에서 언론사들의 기사가 어떻게 편집되고 있는지를 파악했다고 밝혔다.

이 분석을 위해 한 교수는 언론사를 상위 13개 언론과 그 외 기성 언론, 광고주 협회에서 만든 유사 언론으로 지목된 언론사 총 3개 그룹으로 나눴다. 상위 13개 언론사의 기사 질이 그 외 언론사보다 질이 좋다는 전제 하에 이뤄진 조사였다. 그 결과, 네이버나 다음은 구글에 비해 유사 언론이 검색 첫 페이지에 노출되는 경우의 수가 더 많았다. 절대적인 수치로는 3개 플랫폼 모두 상위 언론사의 첫 화면 검색 확률이 그렇지 않은 언론사에 비해 많았으나, 네이버와 다음을 구글과 비교하면 구글의 경우 유사 언론을 더 거른다는 내용이다.

또 한 교수는 메인 뉴스 게재 확률 역시도 분석한 결과, 네이버와 다음의 경우 상위 13개 언론사와 그렇지 않은 언론사가 큰 차이가 없다고도 밝혔다. 정치 뉴스의 경우에도 특정 언론사가 편향적으로 메인에 잘 배치되지 않았다고 밝히며 거의 모든 언론사가 공평하게 메인에 노출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 교수는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 현재의 언론 생태계는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궁극적으로 포털이 뉴스 판매를 중단해야 한다고 본다. 포털이 기사를 계속 유통하는 한 문제가 해결되기 어렵다"라며 "그럼에도 네이버가 최근 발표한 내용은 상당 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포털도 뉴스를 더 이상 팔아서 수익을 올리는 비지니스 모델이 아닌 대안을 찾을 시간이 필요하고 현 언론사들 역시 갑자기 포털에서 빠지면 존폐의 위기가 찾아온다. 따라서 대안적인 서비스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시간이 주어져야 하기에 양측의 유예기간이 필요하다고 본다. 유예기간을 통해 상당수 언론사가 정리되고 나면, 언론 시장의 질서가 자리잡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언론과 포털의 관계성에 대한 문제제기는 과거에도 여러차례 제기되 바 있지만, 일명 ‘드루킹 사건’으로 불리는 포털사이트 여론 조작 사건에서 촉발돼 정계로까지 확대되면서 일파만파 커졌다. 드루킹 사건은 네이버 같은 포털에서 댓글 공작 등을 통한 여론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정치권에서의 반발이 특히 컸다.

국민 대다수가 보는 포털사이트에서 댓글, 기사 순위 조작 등이 일어나 왜곡된 여론을 형성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정치권의 문제제기 이후, 다수의 언론사 역시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의 뉴스 편집권을 비판하고 나섰다.  네이버는 지난 9일 뉴스 및 댓글 서비스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어 “네이버는 더 이상 뉴스 편집을 하지 않겠다. 공간과 기술만 제공하는 역할로 물러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네이버는 네이버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를 완전히 없애고, 검색 중심 화면으로 재편하기로 했다.

또 모바일 첫 화면에 뉴스가 없어지는 대신, 뉴스판과 뉴스피드판이 새로 만들어진다. 언론사가 뉴스를 편집하고, 소비자가 직접 언론사를 선택하는 형태라는 설명이다. 뉴스판에서 발생하는 광고 이익은 전액 언론사가 갖는다는 내용이었다. 그렇지만 네이버의 인공지능 AiRS가 여전히 편집의 상당 부분을 맡게 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변화는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아웃링크의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또 한편으로는 언론사의 신뢰도 역시 약화된 현 상황에는 언론의 책임도 상당하다는 자정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