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수 동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권민수 기자

이완수 동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뉴스 전문 포털 사이트가 법제화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28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언론과 포털, 동반자인가 적대자인가'라는 타이틀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주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이완수 교수는 "기존 포털사는 일반 검색 포털로, 언론은 뉴스 전문 포털로 역할을 분담해야 하며, 국회가 법제화를 추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완수 교수는 토론회의 주제발표를 통해 "뉴스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언론사들이 독자적인 뉴스 전문 포털 사이트를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언론사들은 포털을 벗어날 수 없다"며 "이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포털과 언론사의 비유는 '백화점'에 비유할 수 있다. 소비자들이 이곳 저곳 돌아다니면서 힘들게 쇼핑할 필요 없이, 백화점 한 군데만 가면 원하는 상품을 쇼핑할 수 있는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편리성과 달리 백화점 입점 업체 입장에서는 고충이 따른다. 백화점에 입점해야 브랜드 상품으로 인정받는다는 인식 때문에 백화점과 입점 업체는 불평등한 구조다. '갑을관계'인 것이다. 포털과 언론사도 마찬가지다.

포털도 마찬가지로 원하는 뉴스를 모두 포털에서 찾아볼 수 있어 편리하다. 오늘날 소비자들은 모바일이나 컴퓨터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소비한다. 이중 한국인의 포털 뉴스 의존 비율은 77%로 매우 높다. 뉴스 시장 자체가 포털 중심으로 바뀌자 언론사들 사이에서 기사가 포털에 실려야 인정받을 수 있다고 여기는 인식이 생겼다. 여기에 얼마의 전재료도 받을 수 있어 감지덕지 포털에 기사를 제공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접근성이 높은 포털만 찾게 되면서 개별 언론사를 찾지 않게 돼 포털과 언론사의 '갑을관계'가 형성됐다. 

이 교수는 "이 모든 것들이 문제의 출발이다. 결국 언론은 포털에 종속되는 상황이다. 뉴스 콘텐츠 편집권과 지배권은 포털에 있으니 포털이 갑에 있고 언론이 을이 되는 것"이라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언론사가 포털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은 무엇이 있을까. 이 질문에 이 교수는 "언론사들이 모여 독립적인 뉴스 전문 포털을 만들어야 한다. 기존 포털사는 일반 검색 포털로, 언론은 뉴스 전문 포털로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네이버와 다음은 검색사이트로서 기능하고, 언론사가 독자적인 포털을 만들어 뉴스를 유통해야 한다. 이미 포털화된 미디어산업에서 언론사들의 개별 사이트로는 경쟁력이 없다"며 그 근거를 댔다. 

비용 문제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다. 이 교수는 언론사가 출자하되, 정부의 특별 예산이 들어가면 좋을 것이라 제안했다. 이 교수는 언론이 정부 지원을 받는 게 타당하냐는 비판이 있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언론사의 존립 자체가 어려우므로 정부 지원을 시드 머니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이 과정에서 기사편집, 배열, 콘탠츠 전재료, 광고수익 배분 등은 언론사들이 직접 논의해야 할 사항이며, 뉴스 품질, 즉 저널리즘에 대한 본질적인 논의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국회가 나서 '뉴스 전문 포털'을 법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력하게 추진하지 않고, 지금처럼 논의에서 머무르면 공염불을 외는 것에 그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임시 처방이 아닌 본질적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언론과 포털의 관계성에 대한 문제제기는 그동안 꾸준히 있어왔지만, 일명 ‘드루킹 사건’으로 불리는 포털사이트 여론 조작 사건으로 인해 일파만파 확대됐다. 드루킹 사건은 네이버 같은 포털에서 댓글 공작 등을 통한 여론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정치권에서의 반발이 컸다.

국민 대다수가 보는 포털사이트에서 댓글, 기사 순위 조작 등이 일어나 왜곡된 여론을 형성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정치권의 문제제기 이후, 다수의 언론사 역시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의 뉴스 편집권을 비판하고 나섰다.  

네이버는 지난 9일 뉴스 및 댓글 서비스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어 “네이버는 더 이상 뉴스 편집을 하지 않겠다. 공간과 기술만 제공하는 역할로 물러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네이버는 네이버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를 완전히 없애고, 검색 중심 화면으로 재편하기로 했다.

또 모바일 첫 화면에 뉴스가 없어지는 대신, 뉴스판과 뉴스피드판이 새로 만들어진다. 언론사가 뉴스를 편집하고, 소비자가 직접 언론사를 선택하는 형태라는 설명이다. 뉴스판에서 발생하는 광고 이익은 전액 언론사가 갖는다는 내용이었다. 그렇지만 네이버의 인공지능 AiRS가 여전히 편집의 상당 부분을 맡게 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변화는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뉴스 전문 포털의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또 언론사들 역시 신뢰도 저하 문제에 있어서는 자체적인 책임이 있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