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8 대한민국 CSR 국제 콘퍼런스: 지속가능경영과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의 기조세션을 진행하고 있는 김기찬 가톨릭대 교수. 구혜정 기자

“사람중심 기업은 직원들이 회사의 비전에 공감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면 직원들이 프로액티브(proactive)해지고, 결과적으로 성과가 난다”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가 말하는 사람중심 기업이다. 김 교수는 1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8 대한민국 CSR 국제 콘퍼런스: 지속가능경영과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의 기조세션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사람의 반대말은 무엇인가? 장비다. 장비는 도전하지 않지만, 사람은 도전한다”는 말로 세션을 시작했다. 김 교수 “장비는 감가상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떨어지지만, 사람을 탤런트(재능)로 보면 무한히 개발할 수 있는 자원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국의 경제가 성장하려면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이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한국이 장비와 돈을 중심으로 국민소득 3만 불을 달성했다면, 이제는 '사람'의 꿈과 열정으로 대한민국을 바꿔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소득 4만 달러의 벽을 넘지 못한 국가들은 미래에 대한 도전을 하지 않은 국가들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등은 국민소득 3만 달러에서 4만 달러로 넘어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과거는 화려하지만 미래를 위한 도전을 하지 않는 나라들이다. ‘신중간소득의 함정’에 빠진 것이다. 한국도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김기찬 교수는 프로액티브(Proactive, 먼저 움직이는)한 기업이 살아남으며, 반대로 따라오는 기업은 죽는다고 설명했다. 먼저 움직이려면, 도전이 필요하다. 기업이 도전하게 만드는 힘은 어디서 만들어질까? 바로 사람에서 만들어진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이다.

김 교수는 국민소득 4만 달러가 넘은 국가들은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가 진행한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한국 기업들은 사업은 열심히 하지만, 사람 중심으로 경영하는 곳은 별로 없었다. 김 교수는 이런 한국의 기업들을 오스트리아와 싱가포르처럼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이 발달한 나라의 기업들처럼 만드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의 주장은 세계 30개국을 대상으로 진행된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측정(2016)에 근거를 두고 있다. 측정 항목으로 △기회포착, 비전제시 △열정 △윤리성 등을 뒀다.  

김 교수는 한국의 기업들이 몇 명의 권력자가 기업을 경영하는 ‘킹덤’에서, 자신이 좋아서 하는 ‘팬덤’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기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의 팬덤 ‘아미’를 언급했다. 그는 "외국 팬들이 한국어를 배워 방탄소년단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처럼 스스로 움직이는 '팬덤' 문화가 확산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은 기업이 사람의 아이디어를 통해 성공하고, 사람들의 혁신을 통해 기업의 혁신을 이끌어 나가는 것이다. 사람을 키우고, 몰입하게 하고, 아이디어를 끌어내는 기업이 성장했다. 한국도 그렇게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