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1월 30일 노조간부 표적징계해고를 규탄하는 서울권역 투쟁선포대회 당시 사진. 제공: 삼성전자서비스지회

삼성전자서비스가 '노조 와해' 활동을 통해 노동자의 권리를 지속적으로 침해했다는 의혹들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노조활동 전반에 대한 단계별 대응지침과 행동요령이 담긴 문서가 있었다. 이른바 '마스터플랜'. 검찰이 2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다스' 관련 수사로 삼성 본사를 압수수색 하던 중 발견했다. 마스터플랜에는 노조 진행 상황 점검표가 있는데, 노조설립 움직임과 가입, 세(勢) 확산, 파업 등 3단계의 100여 가지 행동요령이 담겨 있다. 

치밀한 삼성전자서비스의 '마스터플랜'으로 노조원들이 제발로 노조를 나가게 만들었다. 사측은 일감 차별을 통한 노조원 소득 감소, 표적감사, 위장폐업 등으로 노조원의 수를 줄여나갔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에 따르면, 2013년 7월 노조 설립 전후 노조원의 연평균 급여가 3,100만 원 정도에서 2014년 2,600만 원 정도로 약 500만 원(16%) 감소했다. 

왜 노조원의 소득이 줄었을까? 노조에 따르면, 삼성전자서비스가 노조원에게 비노조원보다 일감(콜)을 덜 줬기 때문이다. 2014년 영등포센터 외근직 직원 37명 중 할당받은 일감 수를 보면 1~12등은 모두 비노조원이다. 반면 22등부터 37등까지는 모두 노조원이었다. 

A/S 기사들은 전국 100여 개의 협력사(하청) 소속이며, 수리 건수를 기준으로 보수를 받는다. 건수가 많을수록 소득이 높아지는 형태다. 고객이 콜센터에 전화하면 콜센터에서 기사에게 콜을 배당한다. 

이용철 삼성전자서비스 서울지회 수석부지회장은 미디어SR에 "노동조합을 만들기 전, 경력사원에게 우선 콜이 돌아갔다. 그런데 지금은 입사한 지 1~2년밖에 안 된 비노조 직원에게 먼저 콜이 간다. 전체 건수를 따지면 신입이 경력보다 많다"며 "사람들이 수동으로 배당하는 구조다. 그래서 더 의심된다"고 말했다.

콜 수는 소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사측이 이런 구조를 활용해 노조원에게 일감을 적게 줘 노조 탈퇴를 유도했다는 것이다. 서비스 기사들을 고용한 협력사 사장이 노조원에게 '노조를 탈퇴하면 콜 수를 늘려주겠다'라고 회유한 적도 있었다. 

2013년 7월 노조 설립 당시 1,600여 명의 직원이 가입했다. 그러나 2013년 9월부터 다음 해 1월까지 표적감사가 이뤄지자 1,000여 명으로 줄었다. 이 회장은 "당시 관리자가 3년치 데이터를 뽑아 문제사항이 적발되면, 부정행위로 퇴사할 것이냐, 대신 노조를 탈퇴할 것이냐를 선택하게 만들었다"고 증언했다. 

이후 노조원이 1,300여 명으로 늘었지만, 2014년 3월 노조활동이 활발했던 해운대센터, 아산센터, 이천센터 등이 위장폐업되자 다시 900여 명으로 줄었다. 이후 노조원은 계속 줄어 지난달 삼성전자서비스가 노조와 직접고용 합의를 하기 직전 노조원은 680여 명에 불과했다. 

이후 노조원은 다시 늘어나 현재 약 1,600명이다. 이 회장은 앞으로 노조원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본다. 이 회장은 협력사 사장이 아직도 노조 가입을 막고 있기 때문에,  사장과의 관계가 완전히 끊어지는 직접 고용 이후 노조 가입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한편, 검찰은 노동조합 와해 공작 사건을 수사 중이다. 검찰은 15일 삼성전자서비스 본사에 대한 세 번째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날 서울중앙지법은 삼성전자서비스 노조 와해 공작 실무를 총괄한 혐의를 받고 있는 최 모 전무의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