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 CJ CGV

참여연대가 CJ CGV의 영화 관람료 1천 원 인상에 대해 "당장 철회하라"고 요구한 가운데, CGV는 "부득이한 인상이다"라고 받아쳐 팽팽한 의견 대립을 보이고 있다. 

참여연대는 9일 공식 논평을 통해 CGV가 팝콘 등 영화관 상품의 불합리한 가격, 광고 강제 상영 등 소비자 불만이 높은 문제에 대해서는 개선하지 않고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킨다고 비판했다. 

유동림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간사는 "중점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소비자 불만이 계속됐던 사항이 있고, 이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는데 수익 증대에만 집중하는 행태 자체다. 소비자 입장에서 납득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황재현 CGV 커뮤니케이션 팀장은 "물가 상승에 따라 임차료, 관리비, 시설 투자비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문제는) 다르게 봐야 할 것 같다"라며 즉답을 피했다. 

이와 관련 유 간사는 "CGV 측에서는 그렇게 해명할 수도 있는데, 사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영화관에 가면 돈 쓰는 것은 똑같은데 그렇게 설득력 있는 반박은 아닌 것 같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CGV가  이미 2016년 선호도가 높은 좌석을 비싸게 파는 `프라임존`으로 지정해 가격을 1천 원 올렸는데도 2년 만에 또다시 가격을 올린다고 지적했다. 

또, "멀티플렉스 업계는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가 스크린 수 기준으로 전체의 96%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사실상 독과점 시장"이라며 "점유율 50%대로 업계 1위인 CGV가 티켓을 인상할 경우,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도 잇따라 인상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참여연대에 따르면, 2016년 3월 CGV가 차등요금제를 도입했을 당시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도 뒤이어 유사 정책을 도입했다. 이에 참여연대는 멀티플렉스 3사가 차등요금제를 동일하게 도입한 것이 공정거래법상 시장 지배적 지위의 남용에 해당한다고 보고 2016년 8월 공정거래위에 신고한 바 있다.

CGV 측은 프라임존 제도는 가격 인상이라기보단 '가격 다양화'가 맞다고 말한다. 황 팀장은 "2016년 프라임 존 정책을 소비자들은 인상으로 인식을 하고 있지만 정확하게 인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2009년이다. 프라임 존은 가격다양화 정책을 통해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려고 했던 것"이라 반박했다.

나머지 두 사가 같은 정책을 도입할 것이란 예측에 대해서 CGV 측은 "사별로 가격정책은 다르므로, 각사가 처한 상황에 따라서 다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참여연대가 공정위에 신고한 것은 "법 위반으로 인정할만한 근거가 없다. 무혐의 처리 됐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