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구 가산동에서 진행된 고독사 주민모임.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지역 주민들과 고독사를 막는다.

20일 서울시는 `고독사 예방 종합 대책`을 발표했다. 1인 가구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사회관계망과 연결해 고독사를 막는 게 핵심이다.

서울시는 지역 통장과 반장들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들이 1인 가구에 찾아가 안부를 확인하고, 공공은 긴급 생활비, 의료비, 일자리 제공에 나선다.

서울시 관계자는 "고독사 고위험군 은둔형 1인 가구의 경우 발견이 쉽지 않다. 공공의 정책적 지원과 지역주민의 주도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우선 17개 자치구 26개 지역을 선정해 `이웃 살피미`를 구성한다. 10명 내외로 구성되며, 반지하, 옥탑방, 임대아파트 등 1인 가구를 찾아간다. 병원, 약국, 집주인, 편의점 등은 환자나 단골손님 등이 오랜 기간 오지 않거나, 관리비가 미납되면 동 주민센터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노원, 금천, 관악 지역에 시범운영 한 결과 1인 가구의 경우 주민센터 직원보다 지역주민에게 거부감이 없었다. 실제 1인 가구 주민이 지역주민이 놓고 간 연락망을 통해 통장에게 연락한 예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사회적 낙인으로 방문을 꺼리면 건강음료 배달을 통해 안부를 확인한다. 개개인의 위생 상태에 따라서는 밑반찬 쿠폰이나 목욕 쿠폰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서울시는 1인 가구가 이웃과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고독사 위험이 있는 1인 가구에 월 30만 원의 긴급복지 생계비를 최대 3회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지역 동 주민센터와 유휴공간을 활용해 요리, 연극, 심리 삼당 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서울 00 아파트 통장을 맡은 정 모 씨는 해당 사항에 대해 "아직 이러한 내용에 대해 자세하게 들은 바가 없지만 이런 부분도 통장들의 한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주민들과 함께 조직해서 활동하면 좋은 대책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아파트 단지 내 편의점을 운영하는 심 모 씨는 "아파트에 있다 보니 주요 고객은 주민이다. 현재 6년 정도 하고 있는데, 자주 오시는 손님은 낯이 익다. 잘만 된다면 좋은 정책이겠지만, 편의점주가 어디까지 할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고독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2011년 서울시의 고독사는 2013년 285건에서 2017년 366건으로 증가했다. 1인·2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도 전체(총 378만 가구) 중 54%를 차지한다.

서울시복지재단이 발표한 `서울시 고독사 실태 파악 및 지원방안 연구`에 따르면, 2016년 서울에서 발생한 고독사의 62%는 45세~65세 중장년층 남성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