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이 2050년에 전 세계 기후 난민이 1억 4천만 명이 될 거란 전망을 내놨다. 세계은행 제공

19일(현지시각) 세계은행(WB)이 '국제 기후 난민 준비과정"이라는 보고서를 내놨다. 핵심은 2050년에 세계 기후 난민이 1억4,000만 명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세계은행은 "극심한 기후변화로 물 부족, 흉작, 해수면 상승, 해일 등이 심해지고 이로 인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기후 난민이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기후 난민은 사하라 사막 남부 아프리카에서 8,600만 명, 남아시아에서 4,000만 명, 라틴 아메리카에서 1,700만 명이 발생한다.

세계은행은 "기후 난민이 발생하게 되면 이들이 이주하는 지역은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이주 지역의 일자리, 물, 식량, 사회간접자본이 부족해질 것이고 이는 사회·경제발전, 행정체계에 극심한 혼란을 만들 것이란 전망이다.

하지만 세계은행은 "지금이라도 정책 향상이 이루어지면 위기를 충분히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 정책 방향으로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 난민 문제 국가 개발 계획안에 포함, 개발계획에 필요한 자료수집과 분석에 더 투자'를 제시했다.

세계은행은 "세계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과 경제 개발 등에 따라 난민 숫자를 1억 명가량 줄일 수 있다"면서 "기후변화로 인한 위협에 대응할 방안을 세우고 행동에 나설 기회가 여전히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구의 벗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국의 이지언 국장은 기후 난민 문제에 대해 "우리나라에서는 기후 난민에 대한 체감도가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국가 차원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부분이다"라고 말했다.

세계은행이 제시한 국가 계발 계획에 대해서는 "국내에서는 기후 난민까지는 아니어도 기후 변화 취약계층을 생각해야 봐야 한다. 가령 더운 여름철 쪽방촌에서 견뎌야 하는 분들 등 기후 변화가 심각해질수록 늘어나는 기후 변화 취약계층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 중점을 두고 계획을 짜야 한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감축에서는 "기업 차원에서는 화력발전과 같은 부분을 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등으로 체질개선 하는 부분이 필요하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일자리 문제 등이 나타날 수 있어서 어떻게 해결하며 나아갈 것인지를 고민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과정에서 금융계 역할이 중요하다. 금융계에서도 투자를 할 때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부분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