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누리`는 환경부가 운영하는 생활환경 안전정보 시스템이다. 초록누리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이 쇄도하고 있음에도 환경부는 문제 파악 조차도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환경부는 세정제, 섬유유연제 등 위해우려제품 1,037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세정제, 합성세제, 방향제, 탈취제 등 53개 제품이 안전기준을 위반하여 판매금지 및 회수명령을 받아 이를 초록누리 사이트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초록누리` 사이트를 찾은 이용자들은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 유해물질 검출 제품을 별도 표시를 하지 않아 확인할 수 없었고 위해우려제품을 검색하더라도 제품 정보가 아니라 제품을 검색하더라도 정확한 정보가 검색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안전기준을 위반해 회수명령을 받은 세정제를 통합검색창에서 검색하면 전혀 관련 없는 업체의 카 샴푸 등이 나온다. 업체명으로 검색해도 관련 제품은 조회되지 않는다. 현재는 `초록누리`에서 공지사항의 첨부 파일을 클릭해 안전기준 위반 53개 제품을 확인할 수 있다.

회수명령 받은 세정제 명으로 검색한 결과. 출처 : 초록누리 캡쳐

환경부는 12일 별도의 팝업창을 띄워 53개 제품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했으며 가독성 향상하기 위한 전면적 시스템 개선작업이 현재 마무리 단계라고 보도했으나 미봉책에 불과해 보인다.

환경부는 2017년 7월 24억 여 원 규모로 시스템 개편 용역을 발주했고 5개월간 진행했다. 3월 까지는 안정화 일정만 남아 있어 대대적인 개편은 어려운 상황이다. 초록누리는 2016년 하반기 개설 이후 5천여 개 제품과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왔으나 이용자의 불편함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앞서 두 차례 `초록누리` 사이트를 개편했다.

환경부 김영임 정보화담당 사무관은 `실제 사용자가 자료를 보기 불편하다는 건의가 많아 보기 쉽게 개편하려고 한다. 이번 달 하반기까지는 안정화 기간이다. 4차 구축 용역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2017년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일부 의원들이 `초록누리`가 제품 설명서만 제공하고 있는 등 내용 부실한 문제가 있으니 개선하라고 요구했으나 결과물이 미진한 것은 환경부가 문제 파악을 못 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세 정보에서 제공하는 화학물질 성분 명. 출처: 초록누리 캡쳐

이용자들이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화학물질 성분이 포함된 제품이 얼마나 유해한지 직관적으로 알고 싶을 뿐이다. 현재는 검색도 불가능하다. 힘겹게 검색해도 나오는 것은 알 수 없는 화학성분명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3월까지 46만 명이 `초록누리` 사이트에 방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