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직원공제회는 3월 여의도 신축 사옥으로 이전하면서 전사적 조직개편을 예고했다. 신축 사옥 모습. 사진 : 이승균 기자

한국교직원공제회가 지난해 9월 사회책임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발표했으나 별다른 진척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제회는 지난해 9월 13일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하기로 발표했으나 오늘까지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도입 참여기관 목록은 물론 예정 기관 목록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스튜어드십 코드센터 김선민 선임연구원은 "참여 예정 기관 신청 내역이 없다. 보통 참여 의사를 밝히면 늦어도 3개월 정도면 도입을 마무리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공제회 전략홍보부 김우진 차장은 6개월이 지난 오늘에서야 "3월에 현실에 맞게 진행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했고 기금운용전략실을 신설해 그곳에서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또, 2019년부터 모든 투자의사 결정에 비재무적 요소인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도 함께 고려하는 일명 사회책임투자를 시행하겠다고 다수 언론을 통해 보도했으나 이마저도 매우 제한적인 범위인 것으로 드러났다.

공제회 관계자는 "사회책임투자 관련 규정을 자산운용정책서에 명시적으로 넣었고 관련 규정을 넣었는데 외국 연기금처럼 본격적으로 하는 것은 2019년까지는 조금 힘들다. 사회책임투자를 투자 기준 내에서 한 방식으로 플러스 알파로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주력(메인)으로 하는 것은 힘들 것 같다"고 답했다.

또, 공제회는 2018년 내에 투자 대상 기업이나 운용사의 ESG기준 준수 여부 판단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로 당초 계획했으나 별도의 계획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제회 관계자는 "아직까지 중장기 계획안 정도 청사진만 그려놓고 대출투자 심사 시 사회책임투자 요소를 고려하는 정도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말했다.

그 밖에도, 비교적 선언적 성격이 강해 국민연금도 2009년 가입한 유엔 책임투자원칙(UN PRI) 가입도 상당히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PRI 원칙이 실제 어떻게 적용될지 내부 규정을 검토 후 가입할 것이며 아직 확정된 일정은 없다고 밝혔다.

책임투자 업계에서는 국민연금에 이어 가장 큰 규모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교직원공제회가 사회책임투자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 공제회가 국민연금의 눈치를 보지 않고 독자적으로 행동할 것을 기대했으나 책임투자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국민연금과 별반 상황이 다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