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SK하이닉스 제공

법정 최대 근로시간을 주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이는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재계 전체로 확산될 조짐이 보이고 있다. 

기업들의 이런 움직임은 과로 사회를 막기 위한 현 정부의 정책에 동참하는 동시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삼성전자에 이어 SK하이닉스도 내달부터 주 52시간 근무제 시범운용에 들어간다. 근로기준법 개정을 대비한 `예행연습`에 나선 것이다.

근로기준법이 개정되면 국내 대기업들은 오는 7월부터 새로운 근로기준법을 따라야 한다.
SK하이닉스는 제도 정착을 위해 IT시스템 개선, 통근버스 시간 조정 등 인프라를 지속 보완 할 예정이다. 또, 업무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유연근무제를 모든 부서로 확대하기로 했다.

임직원은 `하루 4시간 이상, 주 40시간 근무`라는 기본 틀 안에서 개인의 생활방식·업무상황에 맞게 자유롭게 일할 수 있다.

다음 달부터는 경영지원부서 등 일부 조직에서 시범적으로 호칭을 통합한다. 세대·직위·직군 간 소통을 강화하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무직(사원-대리-선임-책임-수석)과 생산직(사원-기사-기장-기정-기성)에서 각각 다섯 단계로 사용하고 있는 호칭을 하나로 통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범운영 기간 동안 임직원의 의견을 반영해 통합 호칭을 확정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도 최근 주당 최대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줄이는 ‘근태 관리 시스템’을 구축·가동하며 정부 정책에 발맞추고 있다.

삼성전자는 식사ㆍ흡연ㆍ커피를 즐기는 시간을 근로시간에서 제외하고 있다. 실제 일하는 시간을 철저히 52시간으로 관리, 업무 효율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당시 삼성전자는 각 사업부문 책임자에게 `주당 근무시간이 52시간을 넘는 직원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지킬 수 있도록 독려하라`는 권고사항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할 때 되려 부작용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연구개발(R&D)이나 디자인 담당 부서는 업무 특성상 제품 개발 막바지에 일이 몰릴 수밖에 없고, 해당 업무를 다른 사람이 대체하기도 쉽지 않다. 자칫 주 52시간을 지키다 보면 개발 일정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일감이 몰리는 시기가 정해져 있는 생산현장도 고민이 크다. 예컨대 에어컨의 경우에는 성수기에는 공장을 24시간 풀가동해도 수요를 맞추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건설 및 플랜트ㆍ기계설비ㆍ조선업계 등은 납기에 따라 업무량이 크게 차이 난다.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은 최근 간담회에서 현재 논의 중인 법정 근로시간 기준을 `주간` 단위가 아니라 `분기` 혹은 `연간` 단위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정 근로시간 산정 기준이 분기나 연간으로 확대될 경우 업무가 몰리는 특정 시점에 맞춰 탄력적인 인력 운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