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C는 작년 말 최대 5.9% 가격을 인상했다. 사진은 KFC 동여의도점. / 김시아 기자

최저임금과 배달수수료 인상 등으로 가격 인상 요인은 발생했지만, 치킨 업계의 가격 인상은 힘들 전망이다. 물가 상승을 우려한 정부가 외식물가를 특별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11일 고형권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제1차 물가관계차관회의 및 제14차 최저임금 태스크포스(TF)를 열고 치킨·김밥·햄버거 등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를 대상으로 소비자단체 특별물가조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최저임금 인상에 편승한 가격 인상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고 차관은 회의에서 “정부는 특별한 인상요인이 없음에도 가격을 인상하거나 인상요인 대비 과다하게 가격을 올리는 등 편법적 가격 인상 사례를 방지해 인플레 심리가 확산하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 물가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물가관계차관회의 전후로 물가관리 담당 부처인 기재부와 농림축산식품부, 공정거래위원회에서도 외식업계를 상대로 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공정위는 지난해 6월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비비큐(BBQ)가 8년 만에 주요 메뉴 가격을 올린 것에 관해 직권조사한 바 있다. 당시 비비큐는 공정거래위원회 조사를 받은 직후 이미 올린 30개 제품의 가격을 모두 내렸다. 이에 함께 가격 인상을 고려하던 교촌치킨도 가격 인상 계획을 철회했다.

정부의 전방위적 압박에 가맹본부는 가격 인상을 반려하고 있는 반면, 가맹점주들은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최저임금 인상에 피자·치킨·족발 등을 배달하는 대행업체들마저 수수료 인상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미디어SR이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 단위 매장의 가맹점주들과 통화를 해봤다. 세공의 가맹점주들과 통화한 결과 "프랜차이즈 매장의 메뉴 가격은 대체로 본부가 정해주는 권장 소비자가에 따라 정해지지만, 강제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가맹점주들은 상권별 임대료 차이 등을 고려해 본부에 고지 후 자체적으로 가격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점포마다 주요 메뉴 가격이 다를 경우 한 점포로만 주문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맹본부는 각 점포가 같은 가격을 유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한편, 2017년 소비자물가는 1.9% 올랐지만, 외식물가는 2.4% 올라 외식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를 5년 연속 앞지르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