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간한 ‘2017 세계에너지 전망’(World Energy Outlook 2017)보고서는 경제적 비용 문제로 지지부진했던 재생에너지가 약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석탄은 안녕, 전력 안녕!
 

편집: 김시아 기자

IEA 보고서는 전 세계 에너지 수요가 2040년에 2016년 대비 30%가량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이 중 가장 급격하게 늘어나는 에너지 소비 증가치는 전력이다. 이는 지난 25년간 석유가 차지했던 증가치와 유사한데, IEA는 지금까지 석유가 이끌었던 에너지 시장을 곧 전력이 대체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전력시대를 앞당긴 요인으로는 소득수준 증가가 거론됐다. 개발도상국의 다양한 가전제품의 사용이 전력 사용량을 늘릴 것이라는 게 이유인데, IEA는 2040년 중국의 냉방 전력 수요가 지난해 일본의 전체 전력 수요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전문가들은 급격히 늘어난 전력을 ‘재생에너지’가 만들어낼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에너지 수요 중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6년 8.2%에서 2040년 17%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가 낮아짐에 따라 2022년에는 재생에너지가 전체 전력생산의 30%를 담당하고, 2040년에는 재생에너지가 세계 발전설비 용량의 60%를 차지하리라는 전망이다.

중국·인도는 ‘태양광’… 일본은 ‘수소에너지’

 

 

 

중국 저장 성 원저우 시청 앞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 / 중국정부 제공

 

IEA는 중국은 2030년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석유 소비국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함께 성장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중국은 세계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재생에너지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앞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집권 2기를 맞아 ‘아름다운 중국’을 선포하고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재생에너지 분야를 집중적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재생에너지 부문에 2.5조 위안(한화 407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이 특히 집중하고 있는 분야는 태양광 발전인데 지난해 전 세계 태양광 에너지의 신규 발전설비 용량의 절반 이상을 중국이 차지, 전 세계 태양광 모듈 생산의 65%를 중국이 담당할 정도로 태양광 발전에 적극적이다.

인도 정부도 태양광 발전에 아주 공격적인 모습이다. 2015년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파리기후협약을 체결한 이후 재생에너지 수요가 연평균 13%씩 증가, 2022년 재생 가능 발전설비 용량은 현재의 두 배가 넘을 전망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2월 810억 루피(약 1조36000억 원)를 투자해 에너지 공기업인 ‘인도 태양에너지 공사’(SEGI)를 통해 2020년까지 4만MW 규모의 태양광 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한편, 일본의 경우 ‘수소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이다.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대신 찾은 대책이다. 지난달 아베 신조(安倍晋三) 주재로 열린 에너지 관련 각료회의에서 2030년부터 수소를 사용하는 산업 발전을 골자로 하는 ‘수소기본전략’을 채택했다. 에너지 자급률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수소연료 전지차 80만 대와 버스 1200대를 보급, 수소충전소 900여 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에너지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현재 전체 전력의 15%를 차지하고 있는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2030년까지 22~24%로 확대할 방침이다.

‘탈원전’의 교과서 독일은 지금...

탈원전에 관한 논란은 끊일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분명히, 교과서적인 모범사례는 존재한다.

독일은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로 ‘탈원전’을 꿈꾸고 있다. 독일은 33년간 가동한 바이에른주의 원자력발전소를 폐쇄하며 탈원전에 대한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독일의 2022년까지 17기의 원전을 폐쇄키로 한 정책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단이었다.

독일 정부는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에는 40%, 2040년에는 60%, 2050년에는 8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2017년 전력생산량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은 전년 대비 4% 상승한 33.1%를 기록하고 있지만, 원전 차지 비중은 11.6%다.

독일 정부는 재생에너지 발전과 보급을 위해 태양광 패널, 태양광 전력망 서비스 지원은 물론, 지역에 따라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하는 주민에게는 약 3000만 유로(약 380만 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도 한다. 풍력발전 관련 종사자 수가 15만 명에 달할 정도로 풍력발전에도 적극적이다.

한편 프랑스는 ‘2025년까지 원전 50%를 감축하겠다’는 전 정부의 방안을 재검토하겠다고 나섰다.

‘나 홀로 역행 중’ 미국 행정부, ‘우리끼리도 잘 해’ 미국 주(州)정부

중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재생에너지 시장을 보유한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수축하는 모습이다.

전 오바마 정부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32% 절감을 위한 석탄 화력발전 감축을 요구하는 ‘청정전력계획’(CPP), 30여 개 주에서 의무적으로 재생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를 도입하는 등 친 재생에너지 관련 정책을 펼쳐왔다.

그런데 트럼프 정부는 탄소 배출 감축을 의무화한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탈퇴, 전 정부의 ‘청정전력계획’을 철회하는 등 세계의 흐름과 역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한편, 주(州)정부들의 입장은 각기 다르다.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트럼프 당선 직후에도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1990년보다 40% 낮추기 위한 새 전략 준비에 바빴다.

캘리포니아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80% 감축을 희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 또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주정부는 자동차 배출량 제한, 건물에너지 효율 기준 상향, 발전사의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및 배출권 거래제 등의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

 

 

 

미국 기후연합체에서 발표하는 캘리포니아 주지사 제리 브라운. / 미국 기후연합체 제공

 

앞서 캘리포니아주와 뉴욕주, 워싱턴주 등 총 15개 주는 미국 기후연합체 결성을 발표하며 파리 기후협약 이행 의지가 있다고 선포했다. 이들은 미국 경제의 5분의 1을, 온실가스 배출의 10%를 담당한다. 세 주는 2005년 배출 수준에서 26~28%를 줄이는 미국 목표 할당량을 달성, 연방 청정 발전 계획의 기존 목표를 초과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산자부 고위 관계자는 미디어SR과 통화에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옳냐 그르냐, 전기차가 과연 환경친화적이냐 아니냐 등 화석연료 시대의 종말을 앞두고 이를 대체할 방법에 관한 논쟁이 거세다. 위 질문에 명쾌하게 대답할 학자는 없겠지만 한 가지 정확한 것은 세계 각국이 재생에너지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